능소화 [광주천 2014.7.23] 능소화과 능소화 Campsis grandiflora (Thunb.)K.Schum. 광주천 도로변에 심어 놓은 능소화가 고수부지까지 내려왔다. 중국원산의 식물로 중국에서는 황실에만 심었던 식물로 알려졌다. 처음에는 관상 목적으로 도로변 주변에 심었겠지만 자연스럽게 주변으로 퍼져 스스로 자라기 .. 광주천 식물 2014.10.21
노루오줌 [광주천 2014.7.23] 범의귀과 노루오줌 Astilbe chinensis var. davidii Fr. 비교적 깊은 숲 속, 응달지고 습기가 다소 많은 곳에서 볼 수 있는 식물이지만 이름과 달리 꽃이 아름다워 요즘 관상용으로 많이 심기 때문에 도시의 정원에서도 쉽게 볼 수 있다. 광주천에도 노루오줌 100여그루를 식재 해놓.. 광주천 식물 2014.10.21
낭아초 [광주천 2014.7.23] 콩과 낭아초 Indigofera pseudotinctoria Matsumura 광주천 고수부지에 키 크고 가지 많은 1년생 잡초들 사이에 드문드문 자라고 있다. 여느 콩과 식물처럼 콩과식물 특유의 꽃 모양을 하고 있으며 언뜻보기에 싸리나무와 닮았지만 초본이다. 광주천 식물 2014.10.21
나래가막사리 [광주천 2014.7.23] [광주광역시 남구 진월동, 2013.9.13] 국화과 나래가막사리 Verbesina alternifolia Britton, Kearney, Bull.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 광주에서는 무등산에서만 확인되었으나 광주천과 남구 진월동에서도 확인되었다. 광주천에서는 학동 주변의 고수부지에 몇 개체가 듬성듬성 자.. 광주천 식물 2014.10.21
깨풀 [광주천 2014.7.23] 대극과 깨풀 Acalypha australis L. 들판, 산 입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물로 광주천에서도 비교적 흔하게 관찰할 수 있다. 그동안 산에 돌아다니면서 자주 보아왔지만 마음 먹고 이름이 무엇인지 찾아보지 않다가 광주천 식생 조사를 하면서 동정을 하게 되었다. 전체적인 형.. 광주천 식물 2014.10.21
금방동사니 [광주천 2014.7.23] 사초과 금방동사니 Cyperus microiria Steud. 광주천에 자생하고 있는 금방동사니는 비교적 넓은 평야의 고수부지에서 출현 빈도가 높다. 화서(꽃차례)가 방사상으로 퍼지고 금빛으로 눈에 쉽게 띈다. 금방동사니는 까락이 뾰족한 반면, 참방동사니는 둥그렇다. 광주천 식물 2014.10.21
광대싸리 [광주천 2014.7.23] 대극과 광대싸리 Securinega suffruticosa Rehder 광주천에 자라고 있는 소중한 우리 자생식물이다. 참싸리나 조록싸리와 같은 식물은 콩과에 속하지만 광대싸리는 대극과로 다르다. 대극과는 열매가 네 조각으로 갈라지는 식물을 같은 과로 분류하며 대극과에는 사람주나무, 암.. 광주천 식물 2014.10.21
각시마 마과 각시마 Dioscorea tenuipes Fr. et Sav. 광주천에 자라고 있는 반가운 우리 덩굴성 자생식물이다. 이미 많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가시박, 미국실새삼, 별나팔꽃, 둥근잎나팔꽃 같은 덩굴성 식물과 경쟁하며 자리를 지키고 있지만 많이 볼 수는 없었다. 현재 이 자리라도 잘 지키라는 격려를.. 광주천 식물 2014.10.21
붉은씨서양민들레 국화과 붉은씨서양민들레 Taraxacum laevigatum DC. 무등산 증심사 가는 길 입구(버스정류장에서 약 200m 떨어진 곳)에서 서양민들레 한 송이를 발견했는데, 흔한 서양민들레가 아니고 붉은씨서양민들레이다. 비교적 최근에 귀화식물로 확인되었는데 외관상 서양만들레와 거의 똑같지만 수과(날.. 무등산 식물 2014.10.21
비수리 콩과 비수리 Lespedeza cuneata G. DO 들판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식물로 나무처럼 가지를 벋는다. 주로 햇빛이 잘 드는 들이나 산지에서 볼 수 있으며 흰색 바탕에 자주색 무늬가 있는 작은 꽃을 볼 수 있다. 광주천 물가에 다른 식물들과 뒤섞여 힘겹게 자라고 있다. [찰영일자 2014.8.12] 광주천 식물 2014.10.01
분꽃 분꽃과 분꽃 Mirabilis jalapa L. 광주천 다리 밑, 비가 조금만 오면 물이 차올라 다른 식물이 살기 어려운 곳에 분꽃이 당당히 뿌리를 내리고 있다. 분꽃은 옆으로 많은 가지를 퍼뜨리고 7월 부터 홍색, 황색, 백색의 꽃을 하루 종일 피우고, 향기가 좋다. 염료의 재료로 사용하여 남색을 추출하.. 광주천 식물 2014.10.01
부처꽃 부처꽃과 부처꽃 Lythrum anceps (Koehne) Makino 우리나라와 일본에 분포하고 있는 식물로 광주천 전반에 걸쳐 군집하거나 듬성듬성 자라고 있다. 화서가 꽃대에 길죽하게 걸쳐 나오고 진한 자홍색의 꽃을 피우기 때문에 사람들의 이목을 쉽게 끈다. 꽃이 예쁘고 잘 자라 공원에 많이 식재하고 .. 광주천 식물 2014.10.01
부들 부들과 부들 Typha orientalis PRESL 냇가, 저수지, 연못 등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우리 자생식물이다. 줄기 끝에 달린 화서(꽃차례)가 핫도그처럼 생겨서 귀엽기도하고, 손으로 한 번 두드려보고 싶기도 하는 느낌을 유발시킨다. 대표적은 수생식물로 줄, 달뿌리 등과 함께 광주천 전반에 걸쳐 .. 광주천 식물 2014.10.01
벌개미취 [광주천 2014.10.8] 국화과 벌개미취 Aster koraiensis NAKAI 들판에 아름답게 피는 우리 식물이다. 쑥부쟁이, 구절초 종류의 꽃이 피기 시작하면 곧 가을이 오겠구나하는 생각을 불러일으키는 식물이다. 쑥부쟁이는 잎이 갈라지지 않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조금 있거나 밋밋하지만, 구절초류는 잎.. 광주천 식물 2014.10.01
박주가리 [광주천 2014.7.23] [광주천 2014.10.14] 2015. 4. 10. 광주천 박주가리과 박주가리 Metaplexis japonica (Thunb.) Makino 정겨운 우리 식물이다. 줄기나 잎을 자르면 하얀 액이 나오고, 열매는 원추형으로 10cm 정도 크게 달린다. 열매가 익으면 가운데가 벌어져 갓털을 달고있는 종자가 마치 민들레 씨앗처럼 .. 광주천 식물 2014.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