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과 열매의 생김새와 특징 관찰하기 준비물 학교잡초, 사진기, 안전면도칼 실험방법 ❶ 학교 화단 등지에서 자라고 있는 식물을 관찰 대상으로 삼는다. ▶ 3월 초부터 다양한 학교잡초가 꽃을 피우고 사라지고 새로운 학교잡초가 나타난다. 흔히 볼 수 있는 학교잡초에는 개불알풀, 서양민들레, 제비꽃, 질경이, 토끼풀, .. 학교잡초 가이드북 2014.04.22
꽃과 열매가 자라는 모습 알아보기 준비물 학교잡초, 사진기 실험방법 ❶ 학교 화단 등지에서 막 싹이 나오기 시작한 식물을 관찰 대상으로 삼는다. ▶ 학교 화단과 운동장가에 나왔다가 꽃을 피우고 사라지는 학교잡초가 많다. 교과서에서는 완두를 화분에 심어 싹이 트고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는 과정을 관찰하는 실.. 학교잡초 가이드북 2014.04.22
줄기는 어떤 역할을 할까? 준비물 학교잡초, 안전면도칼, 전정가위, 애기똥풀 실험방법 ❶ 수액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학교잡초를 실험 재료로 선택한다. 본 실험에서는 애기똥풀을 사용하였다. ❷ 줄기를 자른 후 수액이 올라오는 모습을 관찰한다. ▶ 증산작용, 삼투압, 모세관 현상 등을 통해 뿌리로 흡.. 학교잡초 가이드북 2014.04.22
양분의 저장 준비물 학교잡초, 채집주머니, 돋보기, 전정가위, 꽃삽 실험방법 ❶ 학교잡초를 통해서 광합성 결과 생성된 양분이 저장되는 것을 관찰한다. 학교잡초 가이드북 2014.04.22
식물세포 관찰 준비물 학교잡초, 아세트올세인 용액, 광학현미경, 받침유리, 덮개유리, 안전면도칼, 핀셋, 스포이트, 거름종이, 실험용장갑, 보안경, 닭의장풀, 원추리, 소리쟁이 실험방법 ❶ 학교잡초 중 잎의 면적이 넓고 얇은 식물을 관찰한다. ▶ 잎의 끝을 두 손으로 잡고 비틀어 당겨 찢으면 얇.. 학교잡초 가이드북 2014.04.22
포자생식과 영양생식 알아보기 준비물 학교잡초, 돋보기, 받침유리, 덮개유리, 광학현미경, 이멀전 오일, 증류수, 스포이트, 비이커 실험방법 ❶ 학교 주변의 잡초들 중 포자생식과 영양생식을 하는 식물들을 관찰한다. ▶ 수업 시작 전에 미리 각 식물의 위치를 파악하여두고 꽃이나 포자가 달려 있는지 반드시 확.. 학교잡초 가이드북 2014.04.22
식물 분류 하기 준비물 학교잡초, 전정가위, 채집주머니, 꽃삽, 식물도감 실험방법 ❶ 목본과 초본의 식물을 적당한 크기로 채집하여 채집주머니에 넣고 잘 밀봉한다. ▶ 식물을 채집할 때에는 가능한 꽃이나 열매(생식 기관)가 있는 개체로 채집한다. 잎이나 줄 기와 같은 영양경의 경우에는 같은 개.. 학교잡초 가이드북 2014.04.22
광합성으로 만들어진 양분 준비물 채집주머니, 전정가위, 삼발이, 알코올램프, 에탄올, 아이오딘-아이오딘화 칼륨용액, 샬레, 100mL 비이커, 1,000mL 비이커, 핀셋 실험방법 ❶ 서양민들레의 일부분을 알루미늄박으로 가린다. ▶ 4월 이후에는 학교잡초가 왕성하게 자라는 시기여서 어렵지 않게 실험에 필요한 학교.. 학교잡초 가이드북 2014.04.22
광합성에 필요한 물질은? 준비물 채집주머니, 전정가위, 꽃삽, 수조, 물, 수산화나트륨 용액, 비닐 랩 실험방법 ❶ 학교 잡초 중 크기가 대체로 작은 식물을 사용하면 좋은데 계절별로 나오는 잡초의 종류가 다르므로 시기에 맞춰 채집해 사용하면 되겠다. ▶ 본 연구는 3월 말에 실시하였고, 학교 주변에 매우 .. 학교잡초 가이드북 2014.04.22
광합성이 잘 일어나는 조건은? 준비물 전정가위, 채집주머니, 핀셋, 탄산수소나트륨용액, 물, 1,000mL 비이커, 스탠드, 50cm 자, 시험관, 전기스탠드, 집게, 초시계, 물막이, 깔때기 실험방법 ❶ 학교 연못 주변의 수생 식물을 줄기까지 채집한다. ▶ 물가 주변에 자라는 고마리를 실험 재료로 해보았지만 검정말과 같은 .. 학교잡초 가이드북 2014.04.22
식물의 겨울나기(로제트, 겨울눈) 준비물 전정가위, 꽃삽, 채집주머니, 안전 면도날, 루페 실험방법 ❶ 초본 조사를 위해 학교 교정을 둘러보며 로제트 식물을 뿌리째 채집한다. ▶ 로제트(Rosette) 식물이란 땅바닥에 바짝 엎드려 최대한 찬바람을 이겨내는 형태인데 위에 서 보면 장미꽃 같은 모양을 하고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로제트 식물에는 서양민 들레, 지칭개, 개망초, 방가지똥, 왕달맞이꽃 등이 있다. ❷ 목본 조사를 위해 나무의 겨울눈을 채집한다. ▶ 작은 겨울눈 보다는 목련처럼 큰 겨울눈이 관찰하기 쉽다. ❸채집한 로제트의 이름을 동정하고 식물 각각의 특징을 비교하여 차이점을 생각해본다. ▶ 꽃과 열매 같은 생식기관이 없어 식물을 구분하기가 쉽지 않겠지만, 잎의 전체적인 모양, 거치(잎이 갈라진 모양)의 정도, 잎에 있는.. 학교잡초 가이드북 2014.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