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모스 [광주천 2014.10.8] 국화과 코스모스 Cosmos bipinnatus Cav.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 1922년에 유입되었고, 전국의 어디에서나 흔하게 자란다. 광주천 둔치에도 일부러 조성한 코스모스 화단지 있고, 덕분에 많은 사람들이 사진도 촬영하고 즐거운 가을을 보내고 있다. 광주천 식물 2014.11.26
칡 [광주천 2014.8.12] [광주천 2014.10.14] 콩과 칡 Pueraria thunbergiana Benth. 광주천 둔치에도 다른 지역처럼 칡이 왕성하게 번식하고 있다. 넓은 잎을 펼치기 때문에 밑에 있는 다른 식물들은 햇빛을 받지 못하여 말라죽기 쉽고, 다른 나무나 키 큰 식물의 줄기를 감고 올라가서 피해를 입히기도 한다.. 광주천 식물 2014.11.26
좀깨잎나무 [광주천 2014.8.12] 2015. 6. 6. 광주천 쐐기풀과 좀깨잎나무 Boehmeria spicata Thunb. 습기가 많은 숲이나 물가 근처에서 잘 자라며 높이 50~100cm에 달한다. 줄기에 붉은빛이 돌며 잎은 어긋나고 끝이 갑자기 꼬리처럼 길어지고 가장자리에 큰 톱니가 5~6개씩 있다. 꽃은 7~8월에 피며 암꽃은 줄기 윗부.. 광주천 식물 2014.11.26
조록싸리 [광주천 2014.8.12] 콩과 조록싸리 Lespedeza maximowiczii Schneid. 높이 2-3m이고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은 엽병과 더불어 털이 있고 잎은 3출엽이고 가운데 잎이 가장 크다. 꽃은 6월부터 피고 열매는 9-10월에 익는다. 싸리는 종의 구분 없이 교배가 쉽게 일어나기 때문에 변종이 굉장히 많아 구분.. 광주천 식물 2014.11.26
익모초 [광주천 2014.8.12] [광주천 2014.10.14] 꿀풀과 익모초 Leonurus sibiricus 정겨운 우리 식이다. '익모초(益母草)'는 사람에게 유익하다는 뜻의 이름으로 특히 출산한 임산부에게 좋다고 한다. 옛부터 한약재료로 많이 사용되었다. 환경이 좋으면 키가 2m까지 자라고 줄기를 둘러 피는 꽃도 아름다워 .. 광주천 식물 2014.11.26
쇠비름 [광주천 2014.8.12] 쇠비름과 쇠비름 Portulaca oleracea L. 옛날 마당이나 퇴비로 쓸려고 모아둔 소 외양간에서 나온 두엄 근처에서 흔하게 볼 수 있었다. 밭두렁에도 있고 동네 담벼락 밑에서도 볼 수 있었는데, 광주천 둔치에도 다른 식물들이 자리잡기 힘든 바위 틈에 한 개체가 눈에 띄었다. .. 광주천 식물 2014.11.26
선피막이 [광주천 2014.10.14] 산형과 선피막이 Hydrocotyle maritima Honda. 습기가 약간 있는 들길에서 볼 수 있으며 꽃은 6-8월에 핀다. 잎은 둥글며 가장자리가 얕게 5~7개 정도로 갈라지고, 낮고 둔한 톱니가 있다. 이름에서도 대략 예상 되듯이 출혈이 있을 때 잎을 뜯어 찧은 다음 상처난 부위에 바르면 출.. 광주천 식물 2014.11.26
새팥 [광주천 2014.8.12] 콩과 새팥 Phaseolus nipponensis Ohwi 광주천 둔치에서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는 식물로, 햇빛이 잘 드는 탁 트인 둔치에서 주로 보인다. 여우콩과 비슷하지만 여우콩의 꼬투리는 짧고 붉은빛이 돌며 2개의 종자가 들어있는 반면 새팥은 꼬투리가 길고 6-10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 광주천 식물 2014.11.26
새박 [광주천 2014.10.8] 박과 새박 Melothria japonica Maxim. 1년생 덩굴성 식물로 넓은 잎과는 달리 가녀린 줄기를 가지고 있고 달리는 열매도 작고 귀엽다. 새 알처럼 생긴 열매가 달린다고 하여 '새박'이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줄기에 주렁주렁 달린 열매를 보면 흐뭇해진다. 광주천 둔치에도 다른 나.. 광주천 식물 2014.11.26
뽕나무 뽕나무과 뽕나무 Morus alba L. 잎은 어긋나고 계란모양이며 3~5개로 갈라지고 끝이 뾰족해지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6월에 피고 암수딴그루이다. 암꽃의 암술대는 거의 없다. 열매는 6월에 검은색으로 익는다. 광주천 둔지체 서너 그루가 자라고 있다. 뽕나무 열매를 오디라고 .. 광주천 식물 2014.11.26
비짜루국화 [광주천 2014.10.8] 국화과 비짜루국화 Aster subulatus Michx.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1964년에 귀화한 식물로 제주도, 중부, 울릉동에서 관찰되었고 이번에 광주천 둔치에서도 관찰이 되었다. 줄기는 원추형으로 많은 가지를 만들고 가지의 잎은 잎자루가 없이 잎새의 기부가 줄기를 가볍게 둘러싸.. 광주천 식물 2014.11.26
붉은서나물 [광주천 2014.10.7] 국화과 붉은서나물 Erechtites hieracifolia (L.) Raf.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우리나 전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1년생 초본이다. 광주천 둔치에 듬성듬성 몇 개체가 자라고 있으며 키 작은 식물 사이에서 주로 자라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키가 큰 붉은서나물이 눈에 띈다. 비슷한 식물.. 광주천 식물 2014.11.25
도깨비바늘 [광주천 2014.8.12] 국화과 도깨비바늘 Bidens bipinnata 열매에 밑을 향한 가시같은 털이 있어 물체에 잘 달라붙는다. 산에 갔다 내려와서 보면 바지에 주렁주렁 도깨비바늘이 도깨비처럼 달라 붙어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어렸을 때 열매를 따서 친구들 옷에 던지면 달라붙기 때문에 장.. 광주천 식물 2014.11.24
강아지풀 [광주천 2014.8.12] 벼과 강아지풀 Setaria viridis 강아지풀만큼 친숙한 식물이 우리에게 또 있을까? 필자가 맨 먼저 알았던 식물이고, 아들이 네살 때 처음으로 길거리에서 '강아지풀이네'라고 말했던 식물이다. 강아지 꼬리를 닮아서 붙여진 이름인데 외국에서는 여우꼬리를 닮았다고 한단다... 광주천 식물 2014.11.24
호밀풀 [광주천 2014.7.23] 벼과 호밀풀 Lolium perenne L. 광주천 둔치에 듬성듬성 자라고 있으며 여러 개의 줄기가 모여 난다. 전체적으로 쥐보리와 비슷하나 꽃의 겉껍질에 까락이 없으면 호밀풀로 구분한다. 목초로 재배되던 것이 야생화한 것으로 보고 있으며 뿌리가 넓게 퍼지기 때문에 둑이 무너.. 광주천 식물 2014.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