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랭이 벼과 바랭이 Digitaria sanguinalis (L.) Scop. 전국 각지에서 볼 수 있는 1년초로 흔히 잡초로 알려진 우리 식물이다. 주로 경작지 주변에서 볼 수 있는데, 광주천에도 군집을 이루어 자생하고 있다. 주기적으로 광주천 주변의 잡목을 제거하는 과정을 통해 땅속에 있던 씨앗이 발아하여 바랭이 분.. 광주천 식물 2014.10.01
미국실새삼 메꽃과 미국실새삼 Cuscuta pentagona L.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 전국에서 볼 수 있으며 우리나라 식물로 새삼과 비슷하다. 다른 식물에 달라붙어 양분을 먹고 사는 기생식물로 광주천 전반에 걸쳐 넓게 분포하고 있다. 감자의 경우 기생한지 10일이면 고사시킬 수 있을 만큼 피해가 크.. 광주천 식물 2014.10.01
달뿌리풀 벼과 달뿌리풀 Phragmites japonica Steud. 냇가나 하천에서 자라는 대표적인 습지 식물로 흔하게 볼 수 있는 우리 식물이다. 광주천에도 전면에 걸쳐 달뿌리풀이 줄과 함께 자라고 있다. 달뿌리풀은 억새와 비슷하지만 기는 줄기로 사방으로 벋고, 마디에서 뿌리가 나오며, 아래쪽 마디에 퍼진 털이 밀생한다. 어릴적에 달뿌리풀 뿌리를 뜯어 새끼줄처럼 가지고 놀았던 기억이다. 칡 덩굴보다는 덜 견고하여 쉽게 마디가 뜯어지기는 했지만 한 여름 냇가에서 수영하다 지루해질쯤해서 우리의 놀이기구가 되어주곤 했다. [촬영일자 2014.7.23] 광주천 식물 2014.09.30
노랑코스모스 국화과 노랑코스모스 Cosmos sulphureus 북아메리카(멕시코) 원산으로 화단 등지에 식재하던 것이 야생으로 나와 귀화한 식물로 우리나라에 1992년에 도입되었다. 지금은 중부 지방과 남부 지방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귀화식물이다. 7~9월에 꽃이 피고, 코스모스는 9~11월에 꽃이 피며 노랑코스.. 광주천 식물 2014.09.30
금불초 국화과 금불초 Inula britannica var. linariifolia (Turcz.) Regel 우리나라 산과 들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식물로 우리 자생식물이다. 광주천에서도 곳곳에서 노란 꽃을 피운 금불초를 볼 수 있는데 주로 화단을 만들어 식재해 놓은 것들이고 일부는 그것들의 싸앗이 퍼져 스스로 자란 것들이다. 여름.. 광주천 식물 2014.09.30
물억새 [광주천 2014.8.12] [광주천 2014.10.7] 벼과 물억새 Miscanthus sacchariflorus Benth. 광주천에 무리지어 자라고 있으며, 하천 관리하는 분들에 의해 잘 가꾸어지고 있다. 주로 고수부지 자전거 이용도로나 산책로 주변에 많이 자라고 있으며 잘 가꾸어 놓아 자연 그대로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어 매.. 광주천 식물 2014.09.30
메귀리 벼과 메귀리 Avena fatua L. 들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물로 최고 1m 높이의 키가 크고 전체적으로 옅은 회색빛이 돌아 쉽게 눈에 띈다. 귀리의 야생형이라고 보는 사람도 있으며 열매는 독성이 없어 식용하기도 한다. 광주천 전반에 걸쳐 듬성듬성 자라고 있다. [촬영일자 2014.8.12] 광주천 식물 2014.09.30
기생초 [광주천 2014.10.8] 국화과 기생초 Coreopsis tinctoria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 중부, 남부, 제주도 지역에 자라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광주천에도 곳곳에 산발적으로 자생하고 있다. 언뜻보기에 큰금계국과 꽃의 형태가 비슷해 보이지만 꽃잎 하반부에 자갈색 무늬가 있어 구별.. 광주천 식물 2014.09.30
멀구슬나무 멀구슬나무과 멀구슬나무 Melia azedarach var. japonica Makino 광주천 도로변 근처에 멀구슬 나무가 서너 그루 자라고 있다. 멀구슬나무는 일본 원산으로 전남 및 경남에서 심고 있는 낙엽교목으로 높이가 15m까지 달하고 나무껍질이 잘게 갈라지며 가지는 굵고 사방으로 퍼지며 끝에 잎이 달린다.. 광주천 식물 2014.09.30
매듭풀 콩과 매듭풀 Kummerowia striata (Thunb.) Schindl. 잎이 세개식 나오며 꽃은 콩과 특유의 모양으로 피고 우리 자생식물이다. 키가 큰 식물들 사이에서 제 자리를 지키며 잘 자라고 있다. 요즘 식물로부터 생약 성분을 추출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는데 최근 매듭플도 해열과 .. 광주천 식물 2014.09.30
망초 [광주천 2014.7.23] 국화과 망초 Erigeron canadensis L 우리 주변에서 흔히 있는 귀화식물로 광주천에도 개망초와 뒤섞여 자라고 있다. 망초는 줄기와 잎, 전체적으로 흰털이 매우 많은데 비해 개망초는 상대적으로 적고, 개망초가 5~8월에 개화하는 반면 망초는 9~10월에 개화하며, 망초는 꽃의 크.. 광주천 식물 2014.09.30
등황원추리 백합과 등황원추리 Hemerocallis fulva (L.)L. 우리 자생식물인 원추리를 개량한 식물로, 요즘 공원이나 길가 화단 등지에 많이 식재하고 있다. 원추리는 꽃이 노란색으로 주황색이 섞인 등황원추리와는 다르다. 광주천에도 등황원추리가 많이 심겨져 있는데 기왕 심는거 원래 식물인 원추리를 .. 광주천 식물 2014.09.30
중국굴피나무 가래나무과 중국굴피나무 Pterocarya stenoptera 광주천 고수부지의 한 곳에 중국굴피나무가 자라고 있다. 언뜻 보기에 잎과 전체적인 수형이 가죽나무처럼 보이지만 가죽나무에 있는 선점이 보이지 않는다. 대신 잎맥에 날개가 있는 특이한 모양이다. 관상용으로 주로 심었다고 하니 아마도 .. 광주천 식물 2014.09.30
굴피나무 가래나무과 굴피나무 Platycarya strobilacea S.et Z. 광주천 물가에서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는데, 올려 놓은 사진은 개체가 큰 굴피나무고, 높이 2~3m의 어린 굴피나무가 주로 자란다. 열매는 가을에 진한 갈색으로 익는데 모양이 특이하여 소나무나 오리나무와 금방 구분된다. 열매는 잎이 다 떨.. 금당산 식물 2014.09.30
괭이사초 사초과 괭이사초 Carex neurocarpa Maxim. 물가나 습기가 있는 곳에서 자라고 있는 사초과 식물로 다른 사초과에 비해 화서(꽃차례)의 생김새가 달라 구분된다. 사초과와 벼과는 동정하기가 정말 힘들다. 특히 나처럼 사진을 촬영하여 후에 동정을 하는 경우에는 더욱 그렇다. 사초과와 벼과의 .. 광주천 식물 2014.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