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양버들 [광주천 2014.7.23] 버드나무과 수양버들 Salix babylonica 습지에 자라는 대표적인 식물이 버드나무이다. 수양버들은 줄기가 낭창낭창하게 아래로 처지기 때문에 다른 버드나무와 쉽게 구분이 되며 광주천 물가에 듬성듬성 자라고 있다. 어릴적 부모님은 논에서 일을 하시고 나는 버드나무 아.. 광주천 식물 2014.11.11
수레국화 [광주천 2014.7.23] 국화과 수레국화 Centaurea cyanus L 유럽 원산의 귀화식물로 꽃이 화려하여 관상용으로 화원에 심어 가꾸던 것이 야생으로 나와 귀화한 식물이다. 꽃 모양이 수레바퀴처럼 특이하여 붙진 이름으로 꽃색과 모양이 다양한 품종이 있다. 광주천에는 상당히 드물게 분포하고 있.. 광주천 식물 2014.11.11
소리쟁이 [광주천 2014.7.23] 2015. 6. 6. 광주천 마디풀과 소리쟁이 Rumex crispus L. 유럽 원산의 귀화식물로 개항이후에 귀화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광주천 둔치 전체에 걸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다. 종자가 익으면 바람이 불거나 동물에 의해 움직일 때 여러 개의 종자에 의해 소리가 나기 때문에 붙여.. 광주천 식물 2014.11.11
서양벌노랑이 [광주천 2014.7.23] 콩과 서양벌노랑이 Lotus corniculatus var. corniculatus 유럽 원산의 귀화식물로 1964년에 귀화한 식물이다. 시안화물 성분이 식물체에 함유되어 있어서 가축이 섭취할 경우 중독증세를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노란 꽃을 피우기 때문에 쉽게 눈에 띈다. 비슷한 귀화식.. 광주천 식물 2014.11.11
사상자 [광주천 2014.7.23] 산형과 사상자 Torilis japonica (Houtt.) DC. 꽃이 우산처럼 퍼지는 식물을 산형과라고한다. 사상자는 뱀밥풀이라고도 부르는데, 뱀이 풀 숲에 숨어서 사상자 열매를 즐겨 먹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란다. 산형과에 속한 식물들이 비슷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구분하기가 좀 어.. 광주천 식물 2014.11.11
봉의꼬리 [광주천 2014.7.23] 고사리과 봉의꼬리 Pteris multifida Poiret 광주천에서 자동찻길을 받쳐주는 교각 밑에 상당한 개체수가 자라고 있다. 잎 모양이 봉의꼬리를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엽축에 날개가 있어 날개가 없는 큰봉의꼬리와 구분된다. 우리 자생식물로 잎 뒷면을 뒤집어 보면 갈.. 광주천 식물 2014.11.11
미국담쟁이덩굴 [광주천 2014.7.23] 포도과 미국담쟁이덩굴 Parthenocissus quinquefolia (L.) Planch. 광주천에서 하천과 육로를 구분하기 위해 설치된 교각 밑에 듬성듬성 자라고 있다. 담쟁이덩굴은 잎이 한장으로 되어 있는 반면(단엽), 미국담쟁이덩굴은 작은 잎이 5장으로 이루어진 복엽으로 차이가 있다. 마치 인.. 광주천 식물 2014.11.11
미국가막사리 [광주천 2014.10.7] 국화과 미국가막사리 Bidens frondosa L.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 1964년에 귀화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잎이 뚜렷한 깃 모양으로 갈라지는 것을 가막사리라고 하며 미국가막사리는 아래 잎만 깃모양이고 줄기는 암자색이다. 우리 주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대표적은 .. 광주천 식물 2014.11.11
물대 [광주천 2014.10.14] 벼과 물대 Arundo donax L. 유럽이 원산지로 키가 1.8~7m 정도까지 자라며 납작한 잎은 넓어 깔개를 만드는데 사용하고, 줄기는 플루트와 오르간 파이프를 만드는데 쓰였다. 둔치에 자라고 있는 식물들은 보통 키가 작거나 키가 크더라도 억새처럼 가느다란 줄기를 가지고 있.. 광주천 식물 2014.11.11
며느리배꼽 [광주천 2014.7.23] 마디풀과 며느리배꼽 Persicaria perfoliata H.Gross 며느리밑씻개와 유사하지만 잎자루가 잎 뒷면의 가장자리에서 안쪽에 달라붙어 삼각형 잎의 맨끝 중앙에 달려있는 며느리밑씻개와는 차이가 있다. 둘 다 줄기에 날카로운 가시가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광주천 식물 2014.11.11
메밀 [광주천 2014.7.23] 마디풀과 메밀 Fagopyrum esculentum Moench 광주천 둔치에 메밀이 자주 눈에 띈다. 호박, 오이, 토란 등의 작물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광주천에 흘러든 씨앗이 자연 발아하여 자라는 것 같다. 토마토와 수박, 참외도 드물지만 야생 상태로 자라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광주천 식물 2014.11.07
들갓 [광주천 2014.10.8.] 2014. 12. 27. 광주천 2015. 4. 10 십자화과 들갓 Sinapis arvensis L. 유럽 원산의 귀화식물로 전남 지역의 들과 산에서 볼 수 있으며 언뜻 보기에는 유채와 닮았지만, 유채는 잎이 줄기를 감싸지만 들갓은 잎을 감싸지 않아 구분이 된다. 또한 갓은 수술이 4개지만 들갓은 숨어 있는 .. 광주천 식물 2014.10.29
둥근잎유홍초 [광주천 2014.10.14] 메꽃과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coccinea Moench, Meth. 열대 아메리카 원산으로 광주천 전반에 걸쳐 둥근잎나팔꽃과 함께 출현하고 있다. 잎 모양이 나팔꽃과 비슷하지만 꽃은 주황색으로 차이가 분명하다. 잎이 깃모양으로 갈라지는 것을 유홍초라고 한다. 7월에 광주천을 찾았.. 광주천 식물 2014.10.29
큰도꼬마리 [광주천 2014.10.7.] 국화과 큰도꼬마리 Xanthium strumarium var. glabratum (DC.) Cronq. 북아메리카가 원산인 귀화식물로 광주천 전구간에 걸쳐 분포하고 있으며, 8월 이후가 되면 개체가 크게 자라 쉽게 눈에 띈다. 독성이 있고 특히 종자와 떡잎에 밀집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사진에서 보이는 .. 광주천 식물 2014.10.27
덩이괭이밥 [광주천 2014.7.23] 괭이밥과 덩이괭이밥 Oxalis articulata Savigny in Lam. 광주천 학동 고수부지에 듬성듬성 자라고 있는 귀화식물이다. 우리 식물인 괭이밥에 비해 잎과 꽃이 3배 정도 크기 때문에 금방 구분이 되며, 덩이괭이밥과 유사한 식물로 자주괭이밥이 있는데 덩이괭이밥은 덩이줄기가 있.. 광주천 식물 2014.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