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티나무 느릅나무과 느티나무 Zelkova serrata Makino 요즘 가로수로 많이 심기 때문에 한여름에 초록색의 잎을 펼쳐 시원한 그늘을 주는 느티나무를 도심 어느 곳에서나 쉽게 볼 수 있다. 무등산 등산로 주변에도 수령이 오래된 느티나무들이 단풍나무와 뒤섞여 자라고 있다. 시골로 내려가면 마을 입.. 푸른길 공원 2017.09.22
노랑코스모스 국화과 노랑코스모스 Cosmos sulphureus Cav. 북아메리카(멕시코) 원산으로 화단 등지에 식재하던 것이 야생으로 나와 귀화한식물로 우리나라에 1992년에 도입되었다. 지금은 중부 지방과 남부 지방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귀화식물이다. 7~9월에 꽃이 피고, 코스모스는 9~11월에 꽃이 피며 노랑코.. 푸른길 공원 2017.09.22
남천 매자나무과 남천 Nandina domestica Thunb. 학교 화단, 공원, 아파트 단지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나무가 홍가시나무와 남천이 아닌가 싶다. 둘 다 도시의 환경에 매우 잘 적응하고 사계절 푸르며 풍성한 잎으로 주변을 기운차게 해주기 때문이다. 또한, 사람들이 잘라주는 데로 모양을 유지하.. 푸른길 공원 2017.09.22
낙우송 측백나무과 낙우송 Taxodium distichum (L.) Rich. 낙엽 교목. 높이 40 까지. 잎은 긴가지에서는 나선상으로, 어린 가지에서는 수평으로 2열로 어긋나게 달림. 잎이 떨어질 때 새의 깃털처럼 생긴 잔가지가 통째로 떨어지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낙우송이 있는 자리 밑을 보면 통째로 떠어진 낙.. 푸른길 공원 2017.09.22
낙상홍 감탕나무과 낙상홍 Ilex serrata Thunb. 낙엽 관목. 높이 2~3m까지. 조경수 및 공원수. 공원에서 가끔 만나는 나무 중 하나가 낙상홍이다. 잎이 떨어지고 서리가 내릴 때까지 붉은 열매가 달려 있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나무의 전체적인 모양새가 흔히 주변에서 볼 수 있는 형태는 아니고, 푸른.. 푸른길 공원 2017.09.22
나무수국 범의귀과 나무수국 Hydrangea paniculata Siebold 낙엽 관목. 높이 2~4m까지. 산에서 볼 수 있는 산수국과는 꽃의 전체적인 모양이 다른데 나무수국은 원추차례이다. 한동안 정원수로 불두화가 많이 보였는데, 어느 순간 나무수국이 공원의 대표적 수국으로 자리매김한 것 같다. 탐스러운 흰색 꽃.. 푸른길 공원 2017.09.22
꽝꽝나무 감탕나무과 꽝꽝나무 Ilex crenata Thunb. 사계절 푸른 나무로 가지와 잎이 무성하며 잎은 호생하고 꽃은 5-6월에 피며 복총상화서에 달리고 열매는 10월에 흑색으로 익는다. 잎을 따서 손으로 부러뜨려보면 무게감 있게 부러지며 잎을 불에 태우면 '딱딱' 소리를 내며 불에 타기 때문에 꽝꽝나.. 푸른길 공원 2017.09.22
꽃범의꼬리 꿀풀과 꽃범의꼬리 Physostegia virginiana Benth. 푸른길이 조성되었을 때 처음으로 이 식물을 만난 것 같다. 꿀풀처럼 줄기가 사각형인데 꿀풀보다는 꽃이 풍성하고 꿀풀은 짙은 보라색 인데 반해 연한 분홍색을 띠고 있어 이름이 뭘까 굉장히 궁금해했었다. 원예종으로 해외에서 도입되는 식.. 푸른길 공원 2017.09.22
금식나무 식나무과 금식나무 Aucuba japonica for. variegata (Dombrain) Rehder 상록 관목. 높이 1~3m. 금식나무는 잎에 노란색의 반점이 없이 녹색인 반면 금식나무는 노란색의 반점이 있고, 금사철나무와 마찬가지로 품종이다. 식나무는 주로 울릉도와 전남, 제주도의 숲에서 자생하고 있으며 가까이에는 금당.. 푸른길 공원 2017.09.21
금사철나무 노발덩굴과 금사철나무 Euonymus japonica for. aureo-variegata 상록 교목. 높이 5m까지. 사철 늘푸른나무라는 뜻. 전남 지역에서는 사철나무를 정원수로 많이 심기 때문에 어렸을 때부터 익숙하게 보아온 나무이다. 사철나무의 꽃이나 열매도 자연스럽게 눈에 익게 되었고, 겨울철에도 푸르기 때문.. 푸른길 공원 2017.09.21
굴거리나무 굴거리나무과 굴거리나무 Daphniphyllum macropodum Miq. 상록 교목. 높이 10m까지. 울릉도, 제주도, 전남 섬 등 해안가에서 자라는 나무로 푸른길에도 식재되어 있다. 푸른길이 처음 완성되었을 때부터 심겨 있었지만, 환경이 달라서 그런지 생각보다 잘 자라지 못하고 가지만 무성하게 펼치고 있.. 푸른길 공원 2017.09.21
국수나무 장미과 국수나무 Stephanandra incisa (Thunb.) Zabel 산지에서 흔히 자라는 낙엽관목으로서 높이 1-2m이고 가지 끝이 밑으로 처지며 소지는 둥글고 잔털 또는 선모가 있으며 탁엽은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다. 잎은 호생하고 넓은 난형이며 첨첨두 또는 첨두이고 아심장저 또는 재저이며 결각상의.. 푸른길 공원 2017.09.21
구골나무 물푸레나무과 구골나무 Osmanthus heterophyllus (G.Don) P.S.Green 상록 교목. 높이 4~8m까지. 공원이나 아파트 화단에 많이 심는다. 어린 개체의 잎 가장자리에 2~5쌍의 날카로운 톱니가 있고, 대부분 수그루여서 열매를 맺지 않고, 구골나무와 유사하지만, 노란색 꽃을 피우는 나무를 금목서라고 한.. 푸른길 공원 2017.09.21
광나무 물푸레나무과 광나무 Ligustrum japonicum Thunb. 상록 소교목. 높이 5m까지. 광택이 나는 나무라는 의미. 수많은 자동차의 매연을 견뎌내고 푸르게 잘 자라는 나무가 가로수나 도로의 울타리용으로 좋은데 바로 광나무가 공해에 강해 제격이다. 크고 반질반질한 잎을 가진 광나무는 사계절 푸르.. 푸른길 공원 2017.09.21
계수나무 계수나무과 계수나무 Cercidiphyllum japonicum Siebold & Zucc. 낙엽 교목. 높이 30m까지. 1과 1속 1종인 식물. 가을에 잎이 황색으로 단풍이 들며 특유의 달콤한 향기가 난다. 잎이 하트모양이고 나무등걸은 세로로 거칠게 갈라진다. "푸른 하늘 은하수 하얀 쪽배엔 계수나무 한 나무 토끼 한 마리 돛.. 푸른길 공원 2017.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