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고랭이 2015. 6. 6. 광주천 사초과 큰고랭이 Scirpus tabernaemontani Gmel. 물 속에 자라는 대표적인 수생식물로 광주천에서는 항상 어느정도 물기가 있는 곳(비가 많이 오면 여기에 물이 고이는 것 같다)에 큰 고래이 몇 개체가 관찰되었다. 일반 사초과에 비해 외형적인 튼실한 형태를 띄고 있고 꽃차례가.. 광주천 식물 2015.06.19
좀소리쟁이 2015. 6. 6. 광주천 마디풀과 좀소리쟁이 Rumex nipponicus Franch. 일본 원산의 귀화식물로 남부지방, 울릉도, 제주도에 분포한다. 참소리쟁이, 금소리쟁이는 자생식물이고, 소리쟁이, 좀소리쟁이는 외래종이다. 잎의 형태는 비슷하여 구분하기 어렵지만 열매의 형태가 조금씩 달라 구분된다. 사진에서 보는 것처럼 좀소리쟁이는 꽃덮개에 뿔같이 생긴 돌기가 발달되어 있다. 소리쟁이는 1m 이상 되는 것들도 있지만 좀소리쟁이는 개체 크기가 작아 50cm 정도 된다. 광주천에는 영산강과 광주천의 합류지점 부근 자전거 도로 바로 옆에서 어렵사리 발견했다. 개체 크기가 너무 작아 하마터면 못 보고 지나칠뻔 했다. 광주천 식물 2015.06.19
조팝나무 2015. 4. 10. 광주천 장미과 조팝나무 Spiraea prunifolia for. simpliciflora Nakai 산에서 자라는 낙엽관목으로서 높이 1.5-2m이고 줄기는 밤색이며 윤채가 난다. 윗부분에 달리는 측아는 모두 꽃으로 되고 4-5월에 윗부분의 짧은 가지에서 4-6개의 꽃이 달린 산형화서가 나온다. 광주천 둔치에도 몇 그루.. 광주천 식물 2015.06.19
이삭사초 2015. 5. 8. 광주천 사초과 이삭사초 Carex dimorpholepis Steud. 습지 주변에서 주로 자라는 식물로 꽃차례의 모양이 벼의 이삭처럼 고개를 숙이는 모양으로 특이해 다른 식물과 쉽게 구분된다. 광주천, 담양 습지, 광주댐 등 물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다. 광주천 식물 2015.06.19
유채 2015. 4. 10. 광주천 2015. 2. 11. 광주천 2015. 4. 10. 광주천 2015. 2. 11. 광주천 십자화과 유채 Brassica campestris subsp. napus var. nippo-oleifera Makino 서남아시아 원산의 귀화식물로 전국적으로 재배되거나 자생한다. 갓에 비해 줄기잎은 밑부분이 귀처럼 처져서 원줄기를 감싸고 꽃잎은 10mm로 조금 더 크다... 광주천 식물 2015.06.19
유럽점나도나물 2015. 4. 10 석죽과 유럽점나도나물 Cerastium glomeratum Thuill 유럽 원산의 귀화식물로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식물체 전체에 긴 털이 있다. 유럽점나도나물에 비해 소화경이 꽃받침보다 길며 꽃이 필 때 취산꽃차례가 뭉쳐 달리지 않는 것을 점나도나물이라고 한다. 땅을 엎어서 갈면 다시 살아.. 광주천 식물 2015.06.19
오리새 2015. 6. 6. 광주천 벼과 오리새 Dactylis glomerata L. 유라시아 원산의 귀화식물로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꽃가루에 의해 민감한 사람은 알러지를 유발할 수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다발 형태로 뭉쳐 자라고 잎이 편평하고 연한 녹색인 점에서 차이가 있고 원추꽃차례의 형태로 구분이 가능.. 광주천 식물 2015.06.19
유럽전호 2015. 5. 8. 광주천 산형과 유럽전호 Anthriscus caucalis M. Bieb 유럽 원산의 귀화식물로 중부지방, 울릉도, 제주도, 남부지방에서 볼 수 있다. 잎집 주변에 털이 있고 산형꽃차례는 백색으로 사상자와 차이가 있다. 광주천 식물 2015.06.18
약모밀 2015. 6. 6. 광주천 삼백초과 약모밀 Houttuynia cordata Thunb. 중국 원산의 귀화식물로 남부, 울릉도, 제주도에서 관찰된다. 식물 전체에서 생신 비린내 같은 냄새가 나기 때문에 어성초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요즘은 '빛나리' 아저씨들한테 머리카락을 새롭게 나오게 하는 특효약으로 알려져 사랑.. 광주천 식물 2015.06.18
애기메꽃 2015. 6. 6. 광주천 메꽃과 애기메꽃 Calystegia hederacea Wall. 광주천에는 메꽃 종류의 귀화식물이 많다. 미국나팔꽃, 둥근잎나팔꽃, 둥근잎미국나팔꽃, 별나팔꽃, 서양메꽃, 애기나팔꽃 등이 있는데 우리 자생종인 애기메꽃도 한 자리 차지하고 있어 다행이다. 광주천 식물 2015.06.18
씀바귀 2015. 6. 6. 광주천 국화과 씀바귀 Ixeris dentata (Thunb.)Nakai 다년초로 경생엽은 2-3개이고 잎은 긴 엽병과 연결되며 가장자리에 치아상의 톱니가 있다. 꽃은 5-7월에 피고 연한 황색이다. 이른 봄에 뿌리와 어린 순을 나물로 먹는다. 나물로 먹으면 맛이 씁쓸하기 때문에 씀바귀라 이름이 붙여졌.. 광주천 식물 2015.06.18
석잠풀 2015. 6. 6. 광주천 꿀풀과 석잠풀 Stachys riederi var. japonica Miq. 키 큰 풀 사이로 보라색을 띄는 꽃이 눈에 띈다. 꿀풀과 비슷하지만 꽃의 크기가 훨씬 작고 잎 또한 다르다. 흰 뿌리가 누에를 닮았다고 하여 석잠풀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그 넓은 광주천에서 석잠풀은 총 12개체를 보았을뿐이다... 광주천 식물 2015.06.18
새완두 2015. 4. 10. 광주천 콩과 새완두 Vicia hirsuta S.F.Gray 콩과 식물중에 가장 작은 꽃이 달리는 식물인 것 같다. 너무 작아 자세히 보지 않으면 안된다. 개체 크기 자체도 그다지 크지 않지만 열매는 제법 크게 달린다. 광주천 식물 2015.06.18
살갈퀴 2015. 4. 10. 광주천 콩과 살갈퀴 Vicia angustifilia var. segetilis K. Koch. 길가나 들에 흔히 나는 식물로, 2년 초다. 원줄기는 길이 50~150Cm 정도로 옆으로 벋으며 네모지고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꽃은 4~6월에 잎 겨드랑이에 1~3개씩 달리며 길이 12~18mm로서 홍자색이고, 꽃받침은 길이 8~12mm로서 5개.. 광주천 식물 2015.06.18
산조풀 2015. 6. 6. 산조풀 벼과 산조풀 Calamagrostis epigeios (L.)Roth 물가에 자라는 식물로 전국적으로 흔하게 자라는 식물이다. 광주천 식물 2015.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