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달래 2015. 6. 6. 광주천 백합과 산달래 Allium grayi Regel 화순으로 가는 길목의 광주천 둔치에 꽃대를 길게 늘어뜨린 산마늘이 세상을 구경하듯 얼굴을 내밀고 있다. 주변 식물의 키가 너무 커서 산마늘도 피운 꽃을 곤충에게 자랑하기 위해 목을 길게 늘어뜨리고 있는 것 같다. 광주천 둔치에서 산.. 광주천 식물 2015.06.18
산괴불주머니 2015. 6. 6. 광주천 현호색과 산괴불주머니 Corydalis speciosa Max. 산 언저리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식물로 잎은 어긋나고 2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꽃은 4~6월에 황색으로 총상으로 달린다. 열매는 2~3cm로 길죽하다. 유사한 식물은 자주괴불주머니가 있고, 꽃 피기 전의 모습을 구분하기가 어렵지만 .. 광주천 식물 2015.06.18
뽀리뱅이 2015. 5. 8. 광주천 국화과 뽀리뱅이 Youngia japonica (L.)DC. 햇빛이 잘 드는 곳에서 잘 자라며 뿌리 근처의 잎은 로제트형이고 깊게 갈라진다. 꽃은 5-6월에 노란색으로 피며 열매는 갓털이 있어 바람에 난린다. 합성세제를 사용하지 않았던 옛날에는 어르신들이 뽀리뱅이로 설겆이를 하곤 했다.. 광주천 식물 2015.06.18
불란서국화 2015. 6. 6. 광주천 국화과 불란서국화 Chrysanthemum leucanthemum L. 유럽 원산의 귀화식물로 중부지방과 울릉도에서 발견되었다고 보고되고 있고 이번 조사에서 광주천에서도 발견되었다. 쑥갓과 비슷하게 생겼지만 쑥갓에 비해 근생엽은 도난형이며 경생엽은 선형-주걱형으로 결각이 얕고 꽃은.. 광주천 식물 2015.06.18
봄맞이 2015. 4. 10. 광주천 앵초과 봄맞이 Androsace umbellata (Kour.) Merr. 들에서 흔히 자라는 1년 내지 2년 초로서 모든 잎이 뿌리에서 나와 지면으로 퍼지고, 꽃은 4~5월에 피고 백색이며 끝에 4-10개의 꽃이 산형으로 달린다. 봄을 맞이하는 최초의 꽃이 봄맞이는 아니지만 그래도 흰색의 화사한 꽃이 달.. 광주천 식물 2015.06.18
뱀딸기 2015. 4. 10. 광주천 장미과 뱀딸기 Duchesnea chrysantha (Zoll. et Morr.) Miq. 햇볕이 잘 쬐는 곳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줄기는 긴 털이 있고 꽃이 필때는 작으나 열매가 익을 무렵에는 마디에서 뿌리가 내려 길게 벋는다. 꽃은 4-5월에 피고 황색이며 긴 화경에 1개씩 달린다. 언뜻 보기에 딸기와 매우.. 광주천 식물 2015.06.18
배암차즈기 2015. 5. 8. 광주천 꿀풀과 배암차즈기 Salvia plebeia R.Br. 비가 많이 올 때 물이 범람하여 물에 씻겨 나간 둔치는 식물들이 다른 곳에 비해 덜 관찰된다. 배암차즈기는 환경이 좋지 않은 이 곳에 터를 잡고 자라고 있었다. 습기가 많은 곳을 좋아하는 습성이 있어 다른 식물들과의 경쟁도 피하고.. 광주천 식물 2015.06.18
미국질경이 2015. 5. 8. 광주천 질경이과 미국질경이 Plantago virginica L.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 남부와 제주도에서 관찰된다. 비교적 넓고 평탄한 광주천 둔치에 듬성듬성 미국경이들이 모여 자라고 있다. 창질경이에 비해 수상화서가 길고 수술이 화관보다 짧으며 잎이 주걱형이다. 광주천에는 .. 광주천 식물 2015.06.18
미국쥐손이 2015. 5. 4. 쥐손이풀과 미국쥐손이 Geranium carolinianum L. 북아메리카 원산인 귀화식물로 중부, 남부, 제주도에서 관찰된다. 광주시청 쪽에서 챔피언스필드로 가는 광주천 둔치의 자전거 도로 가에 듬성듬성 무리를 지어 자라고 있다. 국내에 자생하는 쥐손이풀속식물은 모두 다년생초본인데 .. 광주천 식물 2015.06.18
말똥비름 2015. 6. 6. 광주천 돌나물과 말똥비름 Sedum bulbiferum Makino 바위채송화나 돌나물과 비슷하다. 바위채송화는 잎이 줄기에 달라붙은 것처럼 되어 있고 돌나물은 잎이 3개씩 돌려나고, 말똥비름은 엽액에 2쌍의 잎이 달려 있어 구분된다. 말똥비름은 열매를 맺지 않고 엽액에 달려있는 2쌍의 육아.. 광주천 식물 2015.06.18
말냉이 2015. 4. 10. 광주천 십자화과 말냉이 Thlaspi arvense L. 유럽 원산의 귀화식물로 중부, 남부, 제주도 지방에서 관찰된다. 줄기잎은 장타원형으로 기부는 줄기를 감싸며 원형인 열매는 주위에 날개가 있다. 냉이와 비슷하나 열매가 훨씬 크고 성숙하면 원형으로 변하며, 끝은 좁은 V자형이고 주위.. 광주천 식물 2015.06.18
뚝새풀 2015. 5. 8. 벼과 뚝새풀 Alopecurus aequalis var. amurensis (Kom.)Ohwi 논두렁에서 흔히 자라는 식물로 꽃은 5-6월에 연한 녹색으로 핀다. 논둑이나 밭둑에서 주로 자라기 때문에 뚝새풀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광주천 식물 2015.06.18
떡쑥 국화과 떡쑥 Gnaphalium affine D.Don 밭 등 햇빛이 잘 비추는 곳에서 자라는 2년초로서 전체가 백색털로 덮여 있고 꽃은 5-7월에 피고 산방화서에 달리며 어린 순을 나물로 먹는다. 특히 작물을 재배하지 않는 밭에서 자주 볼 수 있다. 광주천 식물 2015.06.18
돈나물 2015. 6. 6. 광주천 돌나물과 돈나물 Sedum sarmentosum Bunge 광주천 도로가 돌틈에서 위태롭게 자라고 있는 돈나물(돌나물)을 발견했다. 햇빛이 잘 들고 습기가 있는 곳에서 잘 자라고 잎은 3개씩 윤생한다. 꽃은 5-6월에 피며 꽃이 피기 전에 나물로 먹는다. 돌이 많이 있는 곳에서 잘 자라기 때문.. 광주천 식물 2015.06.18
누운주름잎 2015. 4. 10. 광주천 현삼과 누운주름잎 Mazus miquelii Makino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물로 화단이나 정원에서 발견된다면 잡초라고 뽑혀버릴 식물이지만 꽃을 자세히 보면 꽤 예쁘다. 광주천 둔치에 다른 키 큰 식물들이 자리를 거의 다 차지하여 . 광주천 식물 2015.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