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초 [광주천 2014.7.23] 국화과 망초 Erigeron canadensis L 우리 주변에서 흔히 있는 귀화식물로 광주천에도 개망초와 뒤섞여 자라고 있다. 망초는 줄기와 잎, 전체적으로 흰털이 매우 많은데 비해 개망초는 상대적으로 적고, 개망초가 5~8월에 개화하는 반면 망초는 9~10월에 개화하며, 망초는 꽃의 크.. 광주천 식물 2014.09.30
등황원추리 백합과 등황원추리 Hemerocallis fulva (L.)L. 우리 자생식물인 원추리를 개량한 식물로, 요즘 공원이나 길가 화단 등지에 많이 식재하고 있다. 원추리는 꽃이 노란색으로 주황색이 섞인 등황원추리와는 다르다. 광주천에도 등황원추리가 많이 심겨져 있는데 기왕 심는거 원래 식물인 원추리를 .. 광주천 식물 2014.09.30
중국굴피나무 가래나무과 중국굴피나무 Pterocarya stenoptera 광주천 고수부지의 한 곳에 중국굴피나무가 자라고 있다. 언뜻 보기에 잎과 전체적인 수형이 가죽나무처럼 보이지만 가죽나무에 있는 선점이 보이지 않는다. 대신 잎맥에 날개가 있는 특이한 모양이다. 관상용으로 주로 심었다고 하니 아마도 .. 광주천 식물 2014.09.30
굴피나무 가래나무과 굴피나무 Platycarya strobilacea S.et Z. 광주천 물가에서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는데, 올려 놓은 사진은 개체가 큰 굴피나무고, 높이 2~3m의 어린 굴피나무가 주로 자란다. 열매는 가을에 진한 갈색으로 익는데 모양이 특이하여 소나무나 오리나무와 금방 구분된다. 열매는 잎이 다 떨.. 금당산 식물 2014.09.30
괭이사초 사초과 괭이사초 Carex neurocarpa Maxim. 물가나 습기가 있는 곳에서 자라고 있는 사초과 식물로 다른 사초과에 비해 화서(꽃차례)의 생김새가 달라 구분된다. 사초과와 벼과는 동정하기가 정말 힘들다. 특히 나처럼 사진을 촬영하여 후에 동정을 하는 경우에는 더욱 그렇다. 사초과와 벼과의 .. 광주천 식물 2014.09.30
고마리 마디풀과 고마리 Persicaria thunbergii 냇가, 하천, 강가 등 물가에서 볼 수 있으며 학명은 '꿀의 원천'이라는 뜻이다. 손을 베었을 때 잎을 찧어 바르면 출혈이 멈춘다고 한다. 고마리는 물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우리 식물로 꽃이 작지만 자세히 보면 새하얀 꽃이 맑고 깨끗해 매우 아름답.. 광주천 식물 2014.09.30
개피 벼과 개피 Beckmannia syzigachne (Steud.) Fernald 광주천의 잘 정비된 고수부지에 집단으로 자생하고 있다. 높이는 약 50cm정도로 많은 개체가 함께 자라고 있으며 물가나 도랑 근처에서 자라기 때문에 물피라고 불리기도 한다. 귀화식물 천지인 광주천에서 고분투하고 있는 우리 식물이다. 이외에 .. 광주천 식물 2014.09.30
가시박 [광주천 2014.10.7] 2014년 12월 27일 광주천 박과 가시박 Sicyos angulatus 전국적으로 강가나 하천에 자라고 있는 귀화식물로 생태계 교란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광주천 전구간에는 아직 확산되지 않았으나 제거하지 않고 방치한다면 매우 빠른 속도로 잠식해나갈것이다. 생장 속도가 빠르고 넓.. 광주천 식물 2014.09.30
드린국화 [광주천 2014.8.12] 2014. 12. 27. 광주천 국화과 드린국화 Echinacea purpurea 이 식물의 이름을 찾느라 한참을 고생했다. 화단에서 자주 본 것 같았는데(원체 재배하고 있는 식물에는 관심이 없는지라) 막상 이름을 찾으려니 도감에도 없고 아직 귀화식물 목록에도 지정되어 있지 않았다. 이 식물은 .. 광주천 식물 2014.09.30
돼지풀 국화과 돼지풀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아주 잘 알려져 있는 귀화식물로 광주천에도 어김없이 출현하고 있고 자생하고 있는 분포도 넓다. 돼지풀은 꽃가루가 눈병을 유발할 수 있는 유해식물이다. 이번 조사 과정에서 재미있는 광경을 촬영했다. 맨 위의 사진처럼 돼지풀이 싱싱해야.. 광주천 식물 2014.09.30
마타리 국화과 마타리 Patrinia scabiosaefolia Fisch. ex Trevir 각 종 귀화식물이 자리를 잡고 자신들의 영역을 확대해가는 광주천에서 반가운 손님을 만났다. 조금 깊은 산과 들에서 볼 수 있는 마타리다. 잎이 깊게 갈라지고 키가 2m 까지 자라며 꽃이 밝은 노란색으로 피기 때문에 쉽게 눈에 띈다. 광주.. 광주천 식물 2014.09.30
도깨비가지(가시가지) [광주천 2014.8.12] 가지과 도깨비가지 Solanum carolinense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시물로 중부와 남부지방에 분포한다. 익지 않은 푸른 열매는 독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광주천을 조사하면서 도깨비가지가 꼭 있을 것으로 예상했었다. 요즘 전남 지방 산과 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귀화식물이기 때문이다. 예상대로 시청 근처 고수부지에서 집단으로 번식하고 있는 도깨비가지를 발견하였다. 줄기와 잎 등에 날카로운 가시가 달리는 도깨비가지는 가시가지라고도 부르며 생태계 교란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열매는 둥그렇지만 잎 등 개체의 전체적인 모양이 가지를 닮아 도깨비가지라는 이름이 붙었다. 약 10년 전에 화순 백아산 입구에서 도깨비가지가 집단 자생하고 있는 것을 보고 면사무소와 군청에 연락하여.. 광주천 식물 2014.09.30
상사화 수선화과 상사화 Lycoris squamigera Max. 광주천 둔턱에 상사화가 자라고 있다. 큰 비가 올때 쓸려와 자리를 잡았는지 아니면 누가 일부러 심어 놓았는지 알 수 없지만, 심하게 경사진 둔턱이라 누가 심은 것 같지는 않다. 보통 상사화와 석산(꽃무릇)을 잘못 구분하여 부르는 경우가 많다. 위 .. 광주천 식물 2014.09.05
각시갈퀴나물 [광주천 2014.8.12] 2015. 5. 8. 광주천 콩과 각시갈퀴나물 Vicia dasycarpa Ten. 광주천 고수부지에 자라고 있는 각시갈퀴나물은 유럽 원산의 귀화식물이며 제주도에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최근에는 전라남도의 도로가를 주변으로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광주천에도 어렵지 .. 광주천 식물 2014.09.05
쇠치기풀 벼과 쇠치기풀 Hemarthria sibirica (Gandoger) Ohwi 모든 식물이 정확한 이름을 찾는 것이 어렵지만 특히나 벼과와 사초과 식물들은 참 어렵다. 광주천 고수부지에서 쇠치기풀을 촬영하고 동정을 하면서 한참 동안을 이름을 떠올리려 애를 썼다. 언뜻 떠오른 식물이 염소풀이었는데 확인해보니 아.. 광주천 식물 2014.09.05
붉은토끼풀 콩과 붉은토끼풀 Trifolium pratense L. 광주천의 잘 정돈된 고수부지에서 관찰된 붉은토끼풀은 다년생으로 줄기는 70cm까지 곧추선다. 유럽 원산으로 개항 이후 우리나라에 귀화한 식물로 알려져 있다. 토끼풀도 유업 원산으로 귀화식물인데 토끼풀이 귀화식물이라는 사실은 많은 사람들이 잘.. 광주천 식물 2014.09.05
차풀 콩과 차풀 Cassla mimosoides var. nomame Makino 광주천의 비교적 평평하고 다른 키 큰 식물들이 없는 고수부지에 차풀이 자라고 있다. 다 자란 키가 60cm 정도 되며 잎겨드랑이에 노란 색의 꽃이 1~2개 달린다. 언뜻보기에 자귀풀과 비슷하지만 꽃을 보면 확실히 구분이 되는데, 차풀은 꽃 잎이 5장으.. 광주천 식물 2014.09.05
박하 꿀풀과 박하 Mentha arvensis var. piperascens malinv. 광주천 시청 근처 가기 직전 부근에서 반가운 식물 하나를 발견했다. 마침 꽃이 있어 발견할 수 있었는데 잎만 있었더라면 다른 식물과 섞여 있어 그냥 지나칠 뻔 했다. 사진을 촬영하려고 주변 잎들을 정리하자 강한 박하향이 코 속으로 파고.. 광주천 식물 2014.09.05
뿌리의 생김새와 특징 관찰하기 준비물 시험관, 시험관대, 학교주변 잡초, 식용유, 스포이트, 전정가위, 채집주머니 실험방법 ❶ 시험관 2개에 같은 양의 물을 넣고 학교주변에서 채집한 잡초를 꽂은 후, 식용유를 2~3방울 떨어뜨린다. ▶ 계절에 따라 잡초의 종류가 달라질 수 있으나 잎의 면적이 넓은 잡초와 좁은 잡.. 학교잡초 가이드북 2014.04.22
꽃의 구조와 하는 일 준비물 학교잡초, 광학현미경, 안전면도칼, 핀셋, 받침유리, 덮개유리, 붓, 스포이트 실험방법 ❶ 꽃이 피어있는 학교잡초를 관찰한다. ▶ 계절마다 피는 꽃의 종류가 다양하고 크기 또한 달라 여러 가지 꽃을 대상으로 관찰을 해 보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보면 재밌겠다. ❷ 핀.. 학교잡초 가이드북 2014.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