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운영 [2015. 04. 10 촬영] 광주천 시청 부근 콩과 자운영 Astragalus sinicus L. 중국 원산의 귀화식물로 2년생 초본이다. 광주천 시청 쪽 둔치에 자운영이 몇 개체가 자라고 있는데, 이제 막 터닦기 공사를 끝내고 사각형의 벽돌을 깔아 놓은 틈 사이에 자라고 있는 것으로 콩과식물의 뛰어난 환경 적응.. 광주천 식물 2015.04.13
큰개불알풀 3월 23 4월 28일 열매 현삼과 큰개불알풀 Veronica persica Poir. 2년 초인 개불알풀은 현삼과에 속하며 높이 5-15cm이다. 비스듬히 누워 자라며, 언뜻 스쳐 지나가면 눈에 들어오지 않을 만큼 별다른 게 없어 보이는 풀이지만 봄이 왔음을 제일 먼저 알려 주는 식물이어서 특별하다. 나비 1~2cm의 꽃.. 광주천 식물 2015.03.10
쥐꼬리망초 [광주천 2014.10.14] 쥐꼬리망초과 쥐꼬리망초 Justicia procumbens L. 남부지방에서 자라는 일년초로 광주천 둔치의 물가 주변에 자라고 있다. 꽃은 7-9월에 피며 연한 홍색이다. 화서 모양이 쥐꼬리를 닮지 않았지만 비슷하다고 생각해서인지 쥐꼬리라는 말이 붙은 것 같다. 10~11월 가을길을 걷다.. 광주천 식물 2014.12.04
자귀나무 [광주천 2014.10.14] 콩과 자귀나무 Albizzia julibrissin Durazz. 광주천 물가에 서너개체의 자귀나무가 자라고 있다. 높이 3~5m 정도로 자라며 잎은 어긋나고 우수 2회 깃모양겹잎이며 꽃은 6~7월에 피고 열매는 9-10월에 익는다. 열매는 길이 15cm의 납작한 꼬투리에 5~6개의 종자가 들어있다. 자귀나무.. 광주천 식물 2014.12.04
왕고들빼기 [광주천 2014.10.14] 국화과 왕고들빼기 Lactuca indica var. laciniata (O. Kuntze) Hara 높이가 1~2m에 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윗 부분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키가 12~80cm인 고들빼기에 비해 크고 꽃 색깔은 연한 황색으로 짙은 노란색인 고들빼기와 차이가 있다. 국화과 식물이 그렇지만 고들빼기도 .. 광주천 식물 2014.12.04
쇠별꽃 2015. 4. 10. 광주천 석죽과 쇠별꽃 Stellaria aquatica Scop. 별꽃과 비슷하지만 잎이 별꽃보다 더 크며 표면의 엽맥이 쑥 들어간다. 식물 이름에 '쇠'라는 이름이 들어가면 소가 먹는다는 의미가 있다. Stellaria 속에 속하는 식물들의 꽃은 위에서 보면 마치 별 모양을 하고 있어 아름답다. 하지만 꽃.. 광주천 식물 2014.12.03
상동잎쥐똥나무 [광주천 2014.10.14] 물푸레나무과 상동잎쥐똥나무 Ligustrum quihoui var. latifolium Nakai 상동잎나무와 잎이 닮은 쥐똥나무라는 뜻의 이름이다. 쥐똥나무와 외형이 비슷하지만 쥐똥나무의 잎은 가지의 맨 마지막 2개의 잎이 제일 크고 그 아래에 있는 잎들은 점차 작아진다. 이에 비해 상동잎쥐똥나.. 광주천 식물 2014.12.03
붉나무 6월 3일 엽축에 날개가 있다. 2015. 6. 6. 광주천 옻나무과 붉나무 Rhus chinensis Mill. 잎은 어긋나며 엽축에 날개가 있고 기수1회우상복엽으로 작은 잎은 7~13개이다. 꽃은 8~9월에 피고 황백색으로 원추화서에 달린다. 열매는 황적색이며 황갈색의 잔털로 덮여 있고 10월에 익는다. 잎에 달리는 벌.. 광주천 식물 2014.12.03
멀꿀 으름덩굴과 멀꿀 Stauntonia hexaphylla (Thunb.) Decne. 육지에서는 운동장이나 공원의 그늘막이용으로 등나무를 많이 심지만 제주도에서는 멀꿀을 많이 심는다. 으름덩굴처럼 둥그런 열매가 맺히는데 으름보다는 약 3배 정도 더 크고 맛도 더 좋다고 알려졌는데, 최근엔 관절염에 탁월한 효과가 .. 광주천 식물 2014.12.03
둥근잎유홍초 [광주천 2014.10.14] 메꽃과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coccinea Moench, Meth. 열대 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 원예용으로 재배하던 것이 야생화한 것으로 중부지방, 제주도, 남부 지방에 분포한다. 한해살이풀로 덩굴성이며 다른 식물을 감으면서 길게 뻗는다. 유홍초와 달리 잎이 난형이고 잎 가장.. 광주천 식물 2014.12.03
담쟁이덩굴 [광주천 2014.10.14] 포도과 담쟁이덩굴 Parthenocissua tricuspidata (S.et Z.) Planch. 집 주변에서 더 잘 보이는 담쟁이덩굴은 산 속에서 나무를 타고 올라가기도 하고 바위를 타고 올라가기도 한다. 광주천에는 담쟁이 덩굴이 교각에 매달려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여름까지는 짙은 녹색의 건강함을 .. 광주천 식물 2014.12.03
검정말 [광주천 2014.10.8] 자라풀과 검정말 Hydrilla verticillata Casp. 광주천에 물 속에 검정말이 자라고 있다. 진한 녹색의 잎 때문에 물 속에 있는 모습을 보면 검게 보인다. 검정말은 생물 실험 재료로 많이 활용되는 식물이다. 우선 빛의 세기에 따른 광합성 실험을 할 때 수생 식물인 검정말을 사용.. 광주천 식물 2014.12.03
참억새 [광주천 2014.10.8] 벼과 참억새 Miscanthus sinensis Andersson 산과 들에서 흔하게 볼 수 있고 높이 1~2m정도 이며 꽃은 9월에 핀다. 광주천 둔치에도 물억새, 달뿌리, 줄, 갈대와 함께 뒤섞여 자라고 있다. 광주천 식물 2014.12.03
미국자리공 [광주천 2014.10.8] 2015. 6. 6. 광주천 자리공과 미국자리공 Phytolacca americana L. 북아메리카 원산의 일 년 초로서 높이 1-1.5m이고 보통 적자색이 돌며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기, 꽃은 6~9월에 피고 붉은빛이 도는 백색이며 총상 꽃차례는 길이 10~15cm로서 열매가 익을 때는 밑으로 처진다. 가짜 포.. 광주천 식물 2014.12.03
명아주 [광주천 2014.10.8] 명아주과 명아주 Chenopodium album var. centrorubrum Makino 한해살이풀로 높이 1~2m, 지름 3㎝에 잎은 어긋나고 삼각상 난형이다. 어릴 때 중심부에 붉은빛이 돌고 가장자리에 물결모양의 톱니가 있다. 어린순은 나물로 하고 생즙은 일사병과 독충에 물렸을 때 쓰는데 많이 먹으면 .. 광주천 식물 2014.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