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기노랑토끼풀 2015. 5. 8. 광주천 콩과 애기노랑토끼풀 Trifoflium dubium Sibth. 유럽 원산의 귀화식물로 울릉도, 중부지방, 제주도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는데 이번 조사에서 광주천에서도 확인되었다. 꽃은 황색. 꽃잎은 처음에 황색이며 시들면 담갈색으로 변한다. 영산강과 광주천이 합류하는 지점 부.. 광주천 식물 2015.06.17
노랑꽃창포 2015. 5. 4. 광주천 붓꽃과 노랑창포꽃 Iris ensata var. spontanea (Mak.) Nakai 시의 중심을 통과하여 광주천이 흐르는 곳의 수질이 그다지 좋지 않다. 특히 광주공원에서 양동시장 부근까지는 물에서 악취가 심하게 나는 구간으로 수질정화가 필요한 지역이다. 시에서는 수질 정화를 위해 정화 능력.. 광주천 식물 2015.06.17
꿩의밥 골풀과 꿩의밥 Luzula capitata (Miquel) Mique 햇빛이 잘 드는 잔디밭이나 산의 초입 등지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꽃은 4-5월에 화경 끝에 모여 달린다. 광주천 둔치에도 듬성 듬성 꿩의밥이 자라고 있다. 보통 잔디밭에서 흔히 볼 수 있는데 이름이 꿩의밥인 것은? 아마도 꿩의밥 주변에서 꿩들이.. 광주천 식물 2015.06.17
꽃마리 지치과 꽃마리 Trigonotis peduncularis Benth. 많은 개체는 아니지만 용케도 빈 공간을 찾아 꽃을 피웠다. 꽃마리는 학교 화단이나 들판 등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엽병은 밑부분의 것은 길지만 위로 올라갈수록 짧아져서 없어진다. 꽃은 4-7월에 총상화서로 달리고 말렸던 화서가 스프링이 풀리.. 광주천 식물 2015.06.17
광나무 물푸레나무과 광나무 Ligustrum japonicum Thunb. 광주천 도로 담벼락에 기대선 오래된 광나무가 관찰되었다. 키가 2~3m인 어린 광나무도 몇 그루 있긴 하지만 사진에서처럼 잘 자란 광나무는 이 개체가 유일하다. 사계절 푸른 나무로 한겨울에 산에 오르면 눈에 금방 띈다. 전남 지방에서 많이 자.. 광주천 식물 2015.06.17
개사상자 산형과 개사상자 Torilis scabra (DC.)Makino 광주천 둔치의 자건거 도로와 산책로 근처에 개사상자가 많이 관찰된다. 열매에 작은 가시가 나와있어 옷이나 신발에 잘 달라붙는다. 스스로 움직이지 못하는 식물들은 이렇게 우리를 이용해서 먼 거리를 여행한다. 아마 이러한 이유로 산책로 주변.. 광주천 식물 2015.06.17
개구리자리, 개구리미나리 개구리자리 개구리미나리 미나리아재비과 개구리자리 Ranunculus sceleratus L. 매나리아재비과 개구리미나리 Ranunculus tachiroei Fr.et Sav. 개구리자리는 열매가 길쭉한 반면 사진에서처럼 개구리미나리는 열매가 둥글다. 두 식물 다 물가에서 자라는 식물로 6~7월에 노란 꽃을 피워 눈에 띈다. 식물.. 광주천 식물 2015.06.17
개구리발톱 미나리아재비과의 개구리발톱 Aquilegia buergeriana var. oxysepala (Trautv. et Meyer) Kitamura 햇볕이 잘 쬐는 계곡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 50-100cm이고 윗 부분이 다소 갈라진다. 2회 3출엽이고 소엽은 넓은 쐐기형이며 2-3개씩 얕게 갈라지고 다시 2-3개씩 갈라지며 절편은 끝이 둥글고 양면에 털이 .. 광주천 식물 2015.06.17
갈퀴덩굴 꼭두서니과 갈퀴덩굴 Rubia cordifolia var. pratensis Max. 광주천에 자주 관찰되는 우리 토종 식물 중의 하나다. 잎과 줄기에 날카로운 구부러진 가시가 있어 갈퀴덩굴이라는 이름이 붙은 듯 싶다. 사람들 왕래가 많은 숲 입구나 도심의 빈터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줄기는 네모가 지고 가는 가시가.. 광주천 식물 2015.06.17
가시상추 2015. 6. 6. 광주천 국화과 가시상추 Lactuca scariola L. 유럽 원산의 귀화식물로 서울과 중부, 남부지방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이다. 7~9월에 노란색의 꽃이 피며 크기가 왕고들빼기만 하지만 잎의 뒷면 주맥과 잎 가장자리에 작은 가시가 줄지어 있어 구분된다. 광주천에서는 이 한 개만 관찰되었.. 광주천 식물 2015.06.17
자주광대나물 2015. 4. 10 자주광대나물과 우리 식물 광대나물이 서로 경쟁하고 있는 모습 꿀풀과 자주광대나물 Lamium purpureum L. 유라시아가 원산지인 귀화식물로 남부 지방에서 주로 관찰된다. 4월의 광주천 둔치는 자주광대나물의 독무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만큼 엄청난 군락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시.. 광주천 식물 2015.06.10
물칭개 [2015.5.8] 광주천 현삼과 물칭개 Veronica undulata Wallich 물칭개, 미국물칭개의 구분은 잎의 잎자루의 유무로 결정할 수 있는데, 물칭개는 잎자루가 없이 잎이 줄기를 감싸지만 미국물칭개는 1cm내외의 잎자루가 있다. 영산강과 합류지점을 약 500m 둔 위치의 둔치에서 발견되하였는데, 이곳은 화.. 광주천 식물 2015.05.09
개소시랑개비 [2015. 5. 4] 광주천 시청과 챔피언스필드 사이 장미과 개소시랑개비 Potentilla supina L. 유럽 원산으로 1900년 이전에 들어와 우리나라 습지나 하천에 자라고 있는 귀하식물이다. 꽃은 5월에서 8월에 황색으로 피는데 개인적으로 Potentilla 속에 속하는 식물들의 꽃을 좋아한다. 블로그의 예명이나.. 광주천 식물 2015.05.04
윤판나물 2015.4.26. 화순 촬영 백합과 윤판나물 Disporum sessile D. DON 정겨운 우리 토종 식물이다. 화순 근교 산책로에서 길을 걷다가 우연히 눈에 띄어 촬영하게 되었다. 갖고 있던 것이 스마트폰뿐이라 사진의 화질이 좀 떨어진다. 잎자루가 없는 잎이 꽃을 감사고 있으며 길죽한 노란색의 꽃이 아래쪽.. 식물 2015.04.28
선개불알풀 2015. 5. 8. 광주천 현삼과 선개불알풀 Veronica arvensis L. 유럽, 서아시아, 아프리카 원산이며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이다. 광주천과 본교 주변에서도 자생하고 있으며 큰개불알풀에 비해 꽃이 3~4mm로 매우 작고, 꽃자루가 극히 짧아 포엽 속에서 꽃이 피기 때문에 눈에 잘 띄지 않.. 광주천 식물 2015.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