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가렛 [광주천 2014.10.8] 국화과 마가렛 Chrysanthemum frutescens L 아프리카가 원산으로 광주천에는 인공적으로 조성된 화단에 심은 마가렛이 야생화한 것으로 보인다. 아직 국가생물종정보시스템에는 귀화식물로 정리되지 않았다. 희고 큰 꽃을 피우기 때문에 관상용으로 좋기 때문에 화단이나 길가.. 광주천 식물 2014.12.03
띠 [광주천 2014.10.8] 벼과 띠 Impl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햇빛이 잘드는 양지바른 곳에 자라는 다년생풀로 광주천 넓은 둔치에 다른 벼과식물들과 어울려 자라고 있다. 이삭이 피면 그 존재감을 확실히 알 수 있는데 하얀 강아지 털처럼 되기 때문이다. 아직 피기 전의 어린 이삭을 '삘기'라고 .. 광주천 식물 2014.12.03
이질풀 [광주천 2014.10.8] 쥐손이풀과 이질풀 Geranium nepalense subsp. thunbergii (S. et Z.) Hara 산과 들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연한 홍색 또는 홍자색으로 예쁜 꽃이 피기 때문에 주의를 끈다. 꽃은 꽃대에서 2개의 작은 꽃대가 갈라져 각각 1개의 꽃이 달린다. 예로부터 이질에 특효가 있다고 해 이질풀이라.. 광주천 식물 2014.12.03
골드피라밋 [광주천 2014.10.8] 국화과 골드피라밋(숙근해바라기) Helianthus salicifolius A.Dietr. 미국 플로리다, 텍사스가 원산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재배한다. 광주천 둔치 넓직한 화단에 골드피라밋을 심어놓았다. 숙근해바라기라고도 하며 어떤 사람은 애기해바라기라고도 하지만 애기해바라기는 다른 식.. 광주천 식물 2014.12.03
개비름 [광주천 2014.10.8] 비름과 개비름 Amaranthus lividus L. 유럽 원산의 귀화식물로 개항이후 유입되었으며 중부, 남부, 제주도에 분포한다. 한해살이 풀로 높이 25~80cm이다. 광주천 식물 2014.12.03
참느릅나무 [광주천 2014.10.7] 참느릅나무과 참느릅나무 Ulmus parvifolia Jacq. 높이 10m까지 자란다. 잎은 두껍고 계란모양의 타원형이며 잎 밑의 모양이 좌우가 같지 않고 톱니가 있다. 꽃은 9월에 피며 황갈색이고 열매는 10월에 익는데 열매에 날개가 있는 시과(翅果)이다. 껍질을 벗겨 빻으면 풀처럼 끈쩍.. 광주천 식물 2014.12.03
찔레꽃 [광주천 2014.10.7] 장미과 찔레꽃 Rosa multiflora Thunb. 찔레꽃은 높이 2m로 자라고 줄기와 가지가 활처럼 휘어지기 때문에 비스듬하게 선다. 잎은 5~9개의 작은 잎으로 구성된 기수우상복엽이고 어긋난다. 잎 가장자리는 작은 톱니가 있다. 꽃은 새로 자란 가지 끝에 많은 꽃이 산형 꽃차례로 달.. 광주천 식물 2014.12.03
양미역취 [광주천 2014.10.7] 2014. 12. 27. 광주천 국화과 양미역취 Solidago altissima L.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남부지방과 제주도에 분포하며 1964년 유입되었다. 광주천 둔치에 10개체 정도가 자라고 있으며 아직 많이 확산된 것은 아니다. 자생종인 미역취와 비교하여 전체적으로 대형이고, 줄기에 가지가 .. 광주천 식물 2014.12.03
애기나팔꽃 [광주천 2014.10.7] 메꽃과 애기나팔꽃 Ipomoea lacunosa L.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1964년에 유입되었고 제주도, 중부, 남부 지방에 분포한다. 광주천에 다양한 메꽃과 식물이 자라고 있다. 별나팔꽃, 둥근나팔꽃, 둥근잎미국나팔꽃, 미국나팔꽃, 애기나팔꽃 등. 별나팔꽃은 이름에서 느껴지듯 꽃 위.. 광주천 식물 2014.12.03
서양민들레 암술 머리가 보이고, 씨방이 눈에 띈다. 국화과 서양민들레 Taraxacum officinale Weber 들판이나 화단 등에서 흔히 자라는 식물로 이르면 3월부터 11월까지 환경이 적당한 때에 꽃을 피운다. 우리 주변에 흔히 있는 민들레는 대부분 서양민들레로 귀화한 식물이다. 원산지는 유럽으로 우리나라에.. 광주천 식물 2014.12.03
별나팔꽃 [광주천 2014.10.7] 메꽃과 별나팔꽃 Ipomoea triloba L. 열대 아메리카 원산으로 1964년에 유입되었고 제주도, 중부, 남부 지방에 분포한다. 광주천에 다양한 메꽃과 식물이 자라고 있다. 별나팔꽃, 둥근나팔꽃, 둥근잎미국나팔꽃, 미국나팔꽃, 애기나팔꽃 등. 별나팔꽃은 이름에서 느껴지듯 꽃 위.. 광주천 식물 2014.12.03
미국쑥부쟁이 [광주천 2014.10.7] 국화과 미국쑥부쟁이 Aster pilosus Willd.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 1964년에 도입되었으며 줄기에는 거친 털이 있고 줄기 아래쪽은 목질화 된다. 9-10월에 꽃이 피며 가끔 두상화서의 색이 장미빛을 띄기도 한다. 줄기에 달려있는 잎은 선형으로 끝이 뾰족해지며 가장자.. 광주천 식물 2014.12.03
미국나팔꽃 [광주천 2014.10.7] 메꽃과 미국나팔꽃 Ipomoea hederacea Jacq. 열대 아메리카 원산으로 1964년에 도입되었으며 중부, 남부, 제주도에 분포한다. 둥근잎나팔꽃과 달리 잎이 3열편으로 갈라지는 차이가 있다. 광주천 둔치에 몇 종류의 메꽃이 자라고 있다. 가장 흔하게 눈에 띄는 것이 별나팔꽃과 둥.. 광주천 식물 2014.12.03
물푸레나무 [광주천 2014.10.7] 물푸레나무과 물푸레나무 Fraxinus rhynchophylla Hance 높이가 10까지 자라며 잎은 마주나고 기수1회우상복엽이며 작은 입은 5~7개이다. 꽃은 5월에 피고 새가지 겨드랑이에서 원추화서 또는 복총상화서가 나온다. 열매는 9월에 익고 날개까지 포함해 2~4cm이다. 광주천 둔치에 일.. 광주천 식물 2014.12.03
만수국아재비 [광주천 2014.10.7] 2015. 6. 6. 광주천 2015. 12. 27. 광주천 국화과 만수국아재비 Tagetes minuta L. 남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 제주도와 남부지방에 분포하고 있으며 만수국에 비해 키가 크고(최대 1m) 잎의 열편이 더 좁고 길며 여러 개의 두화는 가지 끝에서 산방화서를 만든다. 민감한 체질인 .. 광주천 식물 2014.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