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ifference Between Knowing The Path And Walking The Path

학교잡초 가이드북

식물 분류 하기

Potentilla 2014. 4. 22. 13:31

 

준비물 학교잡초, 전정가위, 채집주머니, 꽃삽, 식물도감

 

실험방법

 

목본과 초본의 식물을 적당한 크기로 채집하여 채집주머니에 넣고 잘 밀봉한다.

식물을 채집할 때에는 가능한 꽃이나 열매(생식 기관)가 있는 개체로 채집한다. 잎이나 줄 기와 같은 영양경의 경우에는 같은 개체에서도 변이가 심하여 동정을 잘못 할 경우가 있으 나 생식 기관은 동일종이라면 모두 같기 때문에 동정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채집 주머니에 넣고 밀봉을 잘 해두면 검색표를 작성할 때까지 싱싱한 상태로 보존할 수 있다.

 

표본을 실험실로 옮겨와 식물도감을 보고 동정한다.

검색표를 작성한다.

 

식물 동정 방법

식물 동정이란?

산이나 들로 돌아다니다 어떤 식물을 보았는데 이름이 무척 궁금하다. 식물도감을 펼쳐서 확인하거나 인터넷 등을 뒤지면서 그 식물의 이름을 확인하였다. 이렇게 식물의 이름을 확인하는 것을 동정이라고 한다.

 

식물 동정의 기본 순서

동정하는데 있어 가장 큰 어려움을 느끼는 것이 많은 식물들 중에 어떤 식물에서부터 접근해야 하는지 모른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어떤 식물의 모양만 보고도 해당되는 과를 금방 알고 그 과를 기준으로 동정을 해나가는데 초보자들은 과구분 부터가 매우 어려울 것이다. 과를 잘 구분하기 위해서는 부단한 연습과 이름을 알고 있는 식물들을 자주 들여다보면서 식물에 익숙해져야한다.

예를 들어, 장미과는 꽃잎의 개수가 5의 배수, 백합과는 3의 배수, 장미과는 열매에 배꼽이 있고 백합과는 잎이 나란히 맥이다. 국화과는 꽃잎이 설엽이고, 범의귀과는 열매의 모양이 도깨비 뿔처럼 삐져나오고, 석죽과는 카네이션처럼 줄기에 매듭이 있고, 벼과는 줄기를 잡아 빼면 빠지지 않고, 사초과는 빠진다.

(1) 우선 동정하고자 하는 식물의 특징을 살펴 유사한 과로 접근한다.

(2) 대생하는가 호생하는가, 잎 표면과 뒷면, 잎자루에 털이 있는가 없는가를 확인한다.

(3) 잎에 거치가 있는지 없는지, 잎은 단엽인지, 복엽인지 확인한다.

(4) 초본인 경우 뿌리의 형태와 인편 등을 잘 관찰한다.

(5) 개체의 전체 크기와 잎의 넓이, 길이 등을 측정한다.

(6) 꽃의 모양, 화경의 길이, 암수술의 개수 확인(현미경 관찰)한다.

(7) 열매의 모양과 색깔, 표면의 상태확인(현미경 관찰)한다.

 

식물 동정에 필요한 도구

집에서 필요한 도구 : 기본적으로 식물도감, 현미경이 있으면 좋겠지만 개인적으로 갖추기 힘들기 때문에 돋보기 정도, 15cm

야외에서 필요한 도구 : 열매나 꽃을 담을 수 있는 작은 비닐 용기(열매 몇 개나 꽃의 일부는 가져올 수 있기 때문), 전정가위(전혀 무슨 과인지조차도 모를 식물의 경우에는 가지의 일부를 가져와 동정 할 수도 있음), 큰 비닐 주머니(혹 개체의 일부를 집으로 가져올 경우를 대비해서 식물이 시들지 않도록 밀봉할 수 있는 비닐), 관찰 장소를 적을 만한 필기구(나중에 다시 방문할 경우를 대비하거나 촬영한 사진에 기록하기 위해), 사진기

 

동정 할 때 식물의 어떤 부분을 보아야 하나?

같은 종의 식물이라도 변이가 매우 다양하다. , 잎의 모양이 조금씩 다르고, 키가 조금씩 다르다. 특히 서식하는 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아 강원도에 자생하는 식물과 전남에 자생하는 식물 중 같은 종의 식물도 형태가 많이 달라 서로 다른 식물이라 오해를 하는 경우도 있다. 학계에서는 이를 두 종으로 받아들여 각각 다른 이름을 붙여놓은 경우도 있으나 (예를 들어, 육지의 명아주, 바닷가의 갯명아주) 한 종의 식물로 분류하기도 한다.

이렇게 변이가 심하다보니 식물을 동정할 때는 반드시 생식기관을 달고 있는 개체를 대상으로 동정을 해야 한다. 꽃이나 열매나 포자를 갖는 개체를 말한다. 잎과 줄기, 크기는 환경에 따라 많이 다를 수 있으나 생식기관은 차이가 없고, 만약 생식 기관에도 차이가 있다면 이는 다른 종으로 구분되어야한다. 이러한 이유로 반드시 생식기관이 있는 개체를 상대로 동정을 해야 한다. 생식기관을 먼저 보고 그 다음에 잎의 모양과 전체적인 식물의 크기, 또는 상황에 따라 뿌리의 형태도 관찰해야한다. 하지만 뿌리를 보기 위해서는 식물을 채집해야하기 때문에 전문적인 필요성이 있을 경우를 제외하고는 가능하면 식물을 다치지 않게 해야겠다.

 

잎의 형태에 관한 용어

분류하는데 기본이 되는 것 중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잎의 모양이다. 모양의 종류를 자세히 알아두면 동정하는데 편리하다.

잎의 형태 : 원형, 광타원형(넓은 타원형), 타원형, 난형(계란모양), 장타원형(세로가 더 긴 것), 피침형(바늘 같은 모양), 도란형(계란을 거꾸로 뒤집어 놓은 모양), 선형, 침형, 도피침형(바늘을 거꾸로 뒤집어 놓은 모양), 주걱형(주걱 모양), 신장형(콩팥 모양), 심장형(하트 모양), 화살형, 삼각형.

점첨두 : 잎의 끝이 길게 꼬리처럼 길어지는 것. 예두 : 잎의 끝이 점차 뾰족해 지는 것.

급첨두 : 잎의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는 것. 둔두 : 잎의 끝이 둔한 것.

원두 : 잎의 끝이 둥근 것. 유저 : 잎자루에 날개가 있는 것.

결저 : 잎의 기저부분에 결각이 있는 것. 둔저 : 잎의 기저부분이 둔하게 끝나게 되는 것.

예저 : 잎의 기저부분이 뾰족하게 끝나는 것. 심장저 : 잎의 기저부위가 심장형인 것.

원저 : 잎의 기저부위가 둥근 것. 이저 : 잎의 기저부위가 귀 모양인 것.

 

화서(꽃차례)?

화서란 꽃들의 모임을 말한다. , 꽃이 한 개만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개의 꽃들이 모여 있는 것을 화서라고 한다. 꽃이란 자방을 하나 갖고 있으면 한 개의 꽃이 된다. 국화 같은 경우에는 꽃잎 하나에 자방이 하나씩 달려 있기 때문에 한 개체의 국화에는 수백 송이의 꽃이 달려 있는 것이다.

화서 : 총상화서, 원추화서, 산형화서, 산방화서, 복합산형화서, 소취산화서, 취산화서, 두상화 서, 육수화서, 미상화서, 배상화서.

꽃모양: 이판화관, 합판화관, 십자화형, 백합형, 투구형, 통형, 종형, 가면형, 설형, 석죽형

 

분류란?

우리의 생활 속에 있는 거의 모든 것들은 질서정연하게 분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아파트, 진월동, 남구, 광주광역시, 대한민국, 지구, 태양계 하는 것처럼. 진월동에 위치하는 모든 건물들의 주소는 진월동에 묶여있다. 이렇게 해야만 주소를 가지고 정확한 위치를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식물분류(分類, classification)도 마찬가지다. 아주 많은 식물들을 생물들의 특성을 이용해 서로 한데 묶어놓은 것이 분류이다.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우리는 이미 식물분류를 말하고 있다. 약용식물, 수생식물, 육지식물, 먹을 수 있는 것, 못 먹는 것 등. 이러한 분류를 인위적 분류(사람의 주관에 따라 분류)라 한다. 자연적 분류는 생물의 특성에 따라 묶어 놓은 것인데, 꽃을 피우는 식물을 종자식물, 이 중에서 자방이 있어 열매에 과육(, 사과)이 있는 것을 속씨식물, 은행처럼 과육이 없는 것을 겉씨식물(좀 더 전문적으로 말하면 중복수정이 일어나는 것을 속씨식물)이라 하고 이것들은 다시 떡잎이 두 장 있는 것을 쌍떡잎식물, 한 장 있는 것을 외떡잎식물이라 한다.

, 콩은 쌍떡잎식물(진월동), 속씨식물(광주광역시), 종자식물(대한민국)이 되어 쉽게 특성을 찾을 수 있고, 다른 식물을 비교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진화상의 추정도 가능한데, 예를 들어 돌콩과 여우콩은 모두 콩과에 속하기 때문에 돌콩은 장미보다 여우콩과 더 진화상으로 가깝다. 분류의 목적은 이렇게 생물의 유연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생물의 분류 단계는 종<<<<<<계 이고 계는 식물계와 동물계로 나뉜다. 종은 가장 기본적은 분류 개념으로 종은 유일하다.

(species)의 개념은 여러 가지가 주장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것으로,

형태적 종 : 외관상 비슷한 특성을 갖는 것들을 같은 종이라 한다. 하지만 이런 분류 개념은 정확성이 떨어지는데 어떤 동물은 암컷과 수컷의 모양이 완전히 다른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생물학적 종 : 두 종이 자연 상태에서 교배가 가능하고 자손이 생식능력이 있는 것을 같은 종 으로 본다.

분자생물학적 종 : DNA 검사를 해봐서 염기서열이 같으면 같은 종으로 본다.

사자와 호랑이 사이에서 태어난 라이거는 종일까? 아니다. 라이거는 생식능력이 없기 때문에, 즉 라이거와 라이거, 라이거와 사자, 라이거와 호랑이 사이에서 자손을 낳지 못하기 때문에 종이 아니다.

노새는 종일까? 아니다. 노새 또한 생식능력이 없으므로 종이 아니다.

 

 

 

 

1. 목본이다 ---------------------------------------------------2

1. 초본이다 ---------------------------------------------------3

  2. 가시가 있다 ----------------------------------------------찔레꽃

  2. 가시가 없고, 덩굴이다 --------------------------------------마삭줄

3. 잎이 나란히 맥이다 ------------------------------------------꿩의밥

3. 잎이 나란히 맥이 아니다 ---------------------------------------4

  4. 잎이 6개씩 돌려난다 ---------------------------------------갈퀴덩굴

  4. 잎이 돌려나지 않는다 ---------------------------------------5

5. 잎이 마주난다 -----------------------------------------------6

5. 잎이 마주나지 않는다 -----------------------------------------12

  6. 덩굴성이다 -----------------------------------------------사위질빵

  6. 덩굴성이 아니다 -------------------------------------------7

7. 줄기가 사각형이다 --------------------------------------------8

7. 줄기가 사각형이 아니다 ----------------------------------------9

  8. 잎자루가 없다 ---------------------------------------------광대나물

  8. 잎자루가 있다 ---------------------------------------------방가지똥

9. 잎에 거치가 없다 ---------------------------------------------10

9. 잎에 거치가 있다 ---------------------------------------------애기똥풀

  10. 잎과 줄기에 털이 많다 -------------------------------------점나도나물

  10. 잎과 줄기에 털이 없다 -------------------------------------11

11. 줄기에 잎이 달라붙는다 ---------------------------------------돌나물

11. 줄기에 잎이 달라붙지 않는다 -----------------------------------별꽃

  12. 덩굴성이다 ------------------------------------------------둥근잎나팔꽃

  12. 덩굴성이 아니다 -------------------------------------------13

13. 잎이 둥글다 --------------------------------------------------바위떡풀

13. 잎이 둥글지 않다 ---------------------------------------------14

  14. 근생엽이다 -----------------------------------------------15

  14. 근생엽이 아니다 -------------------------------------------16

15. 잎에 화살모양의 거치가 있다 -----------------------------------서양민들레

15. 잎이 길쭉하고 아랫부분에만 거치가 있다 --------------------------씀바귀

  16. 잎에 엽초가 있다 -------------------------------------------소리쟁이

  16. 잎에 엽초가 없다 -------------------------------------------17

17. 잎에 가시가 있다 ----------------------------------------------큰방가지똥

17. 잎에 가시가 없다 ----------------------------------------------18

  18. 잎 뒷면에 흰색털이 많이 있다 ---------------------------------19

  18. 잎 뒷면에 흰색털이 없다 --------------------------------------21

19. 심한 천열이다 --------------------------------------------------

19. 심한 천열이 아니다 ---------------------------------------------20

  20. 잎 뒷면이 흰색이다 ------------------------------------------지칭개

  20. 잎 뒷면이 흰색이 아니다 --------------------------------------개망초

21. 잎 표면이 보라색을 띤다 -----------------------------------------들갓

21. 잎 표면이 보라색이 아니다 ---------------------------------------22

  22. 줄기가 말려 올라간다 ----------------------------------------꽃마리

  22. 줄기가 말려 올라가지 않는다 ----------------------------------23

23. 열매 모양이 삼각형이다 -----------------------------------------냉이

23. 열매 모양이 삼각형이 아니다 -------------------------------------24

  24. 꽃잎이 4장이다 ----------------------------------------------황새냉이

  24. 꽃잎이 4장이 아니다 ------------------------------------------25

25. 덩굴손이 있다 --------------------------------------------------갈퀴나물

25. 덩굴손이 없다 --------------------------------------------------26

  26. 2개의 열매가 서로 붙어 있다 ----------------------------------선개불알풀

  26. 2개의 열매가 서로 분리되어 있다 -------------------------------27

27. 잎이 심장모양이다 -----------------------------------------------약모밀

27. 잎이 심장모양이 아니다 ------------------------------------------개구리발톱

 

 

검색표 사용 방법

작성된 검색표를 가지고 학교잡초가 있는 곳으로 가서 이름이 궁금한 식물 하나를 관찰한다. 예를 들어 초본이라면 검색표 3번 항목으로 가서 잎의 형태를 관찰하여 그물맥이라면 4번 항목으로 간다. 잎이 돌려나지 않는다면 5번으로 가고 잎이 마주나면 6번 항목으로 가서 덩굴성이라면 그 식물의 이름은 사위질빵이다.

교사가 미리 수업할 장소의 학교잡초를 검색표로 작성해 놓고 학생들에게 검색표를 배부해 주고 학교에 있는 식물의 이름을 제한시간 안에 찾게 하면 재미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