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ifference Between Knowing The Path And Walking The Path

학교잡초 가이드북

광합성에 필요한 물질은?

Potentilla 2014. 4. 22. 13:23

 

 

준비물 채집주머니, 전정가위, 꽃삽, 수조, , 수산화나트륨 용액, 비닐 랩

 

실험방법

 

학교 잡초 중 크기가 대체로 작은 식물을 사용하면 좋은데 계절별로 나오는 잡초의 종류가 다르므로 시기에 맞춰 채집해 사용하면 되겠다.

본 연구는 3월 말에 실시하였고, 학교 주변에 매우 많이 분포하고 있는 개불알풀을 채집하 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개불알풀은 3월초에 파란색의 꽃을 피우는 봄의 전령으로 학생들의 관심을 끌기가 쉬워 더욱 흥미롭게 실험에 참여할 수 있게 해준다.

 

채집한 개불알풀(학교잡초)을 작은 화분에 심어 수조에 담은 후 약 2일간 어두운곳에 수 조를 보관한다. 수조는 2개를 준비하고 A 수조에는 물이 담긴 비이커를, B 수조에는 수산 화나트륨이 들어있는 비이커를 함께 넣고 입구는 비닐 랩으로 밀봉한다.

외부에서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비닐 랩으로 밀봉한다.

B 수조의 수산화나트륨 용액은 수조 속의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함이고, A수조 비이커 속의 물은 통제변인으로 작용한다.

2일간 어두운 곳에 놓아둠으로서 그동안 잎에 저장된 녹말을 제거한다.

 

2일 후 A, B 수조를 햇빛이 잘 비치는 곳에 놓아두고 일주일 정도 관찰한다.

본 실험은 이산화탄소가 광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임으로 물이 영향 을 미치지 않도록 실험 전 화분에 충분한 물을 주도록 한다.

 

 

 

 

본 탐구에서는 질경이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키가 작은 다른 식물들 대부분을 실험 재료로 사용할 수 있으나 질경이를 택한 이유는 다른 식물에 비해 생명력이 강하기 때문이다. 2일간 암실에 두고 다시 2일간 랩으로 씌워 보관하기 때문에 말라 죽거나 스트레스로 인해 실험 결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 염려되어 질경이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를 보면 물을 넣어준 화분은 잎에 생기가 돌고 물의 습기로 인해 잎에 습기가 묻어 있으나 수산화나트륨을 넣어준 화분은 잎에 생기가 없고 푸석푸석하다. 또한 물을 넣어준 화분에는 괭이밥 새싹까지 돋아나 대조된다.

 

 

 

'학교잡초 가이드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 분류 하기  (0) 2014.04.22
광합성으로 만들어진 양분  (0) 2014.04.22
광합성이 잘 일어나는 조건은?  (0) 2014.04.22
식물의 겨울나기(로제트, 겨울눈)  (0) 2014.04.22
물관 관찰  (0) 2014.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