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ifference Between Knowing The Path And Walking The Path

학교잡초 가이드북

광합성으로 만들어진 양분

Potentilla 2014. 4. 22. 13:25

 

 

준비물 채집주머니, 전정가위, 삼발이, 알코올램프, 에탄올, 아이오딘-아이오딘화

칼륨용액, 샬레, 100mL 비이커, 1,000mL 비이커, 핀셋

 

실험방법

 

서양민들레의 일부분을 알루미늄박으로 가린다.

4월 이후에는 학교잡초가 왕성하게 자라는 시기여서 어렵지 않게 실험에 필요한 학교잡초 를 구할 수 있다. 본 실험 진행을 위해 가능한 잎이 넓은 식물을 재료로 활용하면 좋은데, 개망초, 질경이, 소리쟁이, 서양민들레 등이 있다.

교과서에서는 식물을 화분에 옮겨 심어 실험을 했지만, 화단 등에 식물은 옮기지 않고 그 대로 실험을 해도 되기 때문에 훨씬 현장감 있고 생생한 실험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2일 후 알루미늄박으로 가린 잎만 딴 후 실험실로 가져온다.

채집봉투에 잎을 넣고 입구를 밀봉하면 시들지 않게 옮길 수 있다.

 

100mL 비이커에 에탄올을 채우고 가져온 잎을 담근다. 1,000mL 비이커에 물을 절반 정 도 채운 후100mL 비이커를 넣고 가열한다.

에탄올을 넣고 잎을 가열하면 잎 속의 엽록소가 파괴되어 아이오딘 반응시 색깔 변화를 뚜 렷하게 확인할 수 있다.

 

100mL 비이커에 에탄올을 채우고 가져온 잎을 담근다. 1,000mL 비이커에 물을 절반 정 도 채운 후 100mL 비이커를 넣고 약 3분간 가열한다.

 

가열한 잎을 꺼내어 샬레에 놓고 아이오딘-아이오딘화 칼륨 용액을 떨어뜨려 변화를 관찰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