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식물은 꽃의 구조를 특별하게 하여 특정 곤충만이 방문할 수 있도록 허락합니다. 작은 몸집의 곤충만 꿀샘을 방문할 수 있게 입구를 작게 하거나, 곤충이 아예 들어오지 못하도록 입구를 최소화하고 긴 대롱 같은 것으로만 닿을 수 있게 하는 식물도 있습니다. 혹은 지정된 무게를 갖는 곤충이 착륙했을 때만 그 무게로 입구를 막고 있는 문이 열리게 하는 꽃도 있지요.
이러한 장치들은 중매는 제대로 하지 않으면서 꿀만 탐하는 곤충들을 퇴치하기 위한 것입니다. 실제로 이런 장치가 없는 꽃들은 모든 곤충에게 꿀샘이 개방되어 있어서, 꿀을 얻은 곤충이 또 다시 같은 종류의 꽃으로 향할 가능성이 낮아집니다.
반면, 이런 장치를 한 꽃에서 많은 꿀을 보상받으면 그 곤충은 동일한 종류의 꽃을 찾아가게 될 것이고, 자연스럽게 수분이 이루어질 확률이 높아집니다.
사진은 현호색과의 자주괴불주머니에요. 거라는 곳에 꿀이 있는데 몸집이 큰 곤충은 들어가지 못해요.
하지만 이러한 식물의 전략에 반발하는 곤충들도 있습니다. 꿀샘까지 접근하지 못하는 것에 분개하여 꿀샘이 있는 부위를 날카로운 앞발로 찢어버리고 꿀을 강탈하기도 합니다. 이는 식물과 곤충의 아름다운 공생 관계가 약탈적인 관계로 변하는 순간입니다.
사실 식물과 곤충의 관계는 공생과 이용이라는 양면적인 성격을 동시에 지니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