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집이란 일정한 지역에서 생활하는 여러 개체군의 집합으로 군집은 생산자, 소비자, 분해자로 구성된다. 이 중 식물은 생산자에 속하며 우점종과 지표종이 있다. 우점종은 밀도, 빈도, 피도가 우세하여 군집을 대표할 수 있는 개체군으로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친다. 금당산의 경우 소나무와 굴참나무, 상수리나무가 우점종이다. 방형구를 이용하여 식물 군집 내 식물의 밀도, 빈도, 피도를 조사하여 우점종을 결정하는데
밀도 : 개체수/방형구 총면적,
빈도 : 특정 종이 출현한 방형구 수/조사한 전체 방형구 수 X 100
피도 : 식물의 지상부가 땅을 덮고 있는 비율
우점종은 중요값(상대 밀도+상대 빈도+상대 피도)이 가장 높은 종이 우점종이다.
군집은 강수량과 온도, 기후의 영향에 따라 식물 군집의 종류가 달라지는데,
산림은 기온이 높고 강수량이 많은 지역에서 발달하는 목본 식물 중심의 군락을 말하며 열대우림, 낙엽수림, 침염수림이 있다.
초원은 강수량이 적은 지역에서 발달하는 초본 식물 중심의 군락으로 사바나, 스텝이 있다.
생물 군집의 생태 분포는 기온이나 강수량에 따라 생물 군집의 분포가 달라지는데,
한라산과 같은 경우 고도 600m 정도까지는 상록 활엽수림대, 1200m까지는 낙엽 활엽수림대, 1300m까지는 혼합림대, 1700m까지는 침염수림대, 1800m이상은 관목대이다.
삼림 군집에서는 층상구조가 나타나는데
교목층 : 삼림의 높이가 8m 이상인 부분
아교목층 : 8~2m
관목층 : 2~0.4m
초목층 : 0.4m
지의층으로 구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