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
대학 온라인 도서관을 잘 활용하면 논문 작성시에 매우 유용하다. 국내 학술지는 물론 해외 학술지를 DB 검색하여 논문을 무료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또한, 제출된 학위 논문을 학과별로 구분하여 찾아볼 수 있다. 가장 자주 이용했던 서비스는 논문 검색 서비스였다. 온라인 도서관은 휴대전화 앱을 통해서도 이용할 수 있으며, 앱을 통해 전자 도서 서비스를 해주고 있어서 관심 있는 책을 편리하게 대여하여 읽을 수 있는데, 전공 서적이나 학술적인 도서는 직접 도서관을 방문해야 한다.
도서관에서는 정기적으로 도서관 이용 프로그램 교육을 시행한다. 본인도 2020년 2학기 학위 과정 첫 학기에 이용 공지 문자를 받고 예약 신청하여 교육받았는데, 논문 작성 활동에 매우 유익하였다. 2차례 참여했고, 교육 분야는 해외 학술지에서 논문 검색 활용하기, Endnote(서지 관리), Turnitin(논문 표절 예방), Copykiller(논문 표절 예방) 활용법에 관해 배웠다. Endnote는 대학에서 구입하여 학생들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논문 작성에 필수적인 서지 관리 프로그램이다. 수십 개의 논문을 읽고 그 논문의 출처를 정리해야 하는데 Endnote는 이러한 작업을 편리하게 해준다. Endnote를 다운받아 컴퓨터에 설치한 후 구글 스콜라 등에서 관심 있는 논문을 검색하여 인용 자료를 바로 Endnote로 전송하여 정리할 수 있다. 유튜브 등에도 사용 방법이 소개되어 있지만, 도서관 교육을 활용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Endnote 사용법은 꼭 강의를 들어야 한다. Endnote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Word 프로그램도 함께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Turnitin 프로그램은 논문 유사도 검사 프로그램으로 학술지에 투고하거나 청구 논문 작성 시에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표절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대학에서 구입하여 학생들이 무료로 사용할 수 있지만, Endnote와는 다르게 따로 Turnitin에 회원가입을 해야 하고, 대학 담당자로부터 사용 허가를 받아야 한다. Turnitin의 경우는 유튜브 등에도 설명이 별로 없으므로 교육이 필수적이다. 주로 영문으로 논문을 작성했을 때 Turnitin으로 표절 검사를 시행한다.
Copykiller도 Turnitin과 같은 논문 유사도 검사 프로그램이며 따로 회원가입은 필요 없고 학생이라면 누구든 이용할 수 있다. 주로 한글 논문에 적용한다.
'작장인 박사 학위 도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사학위 도전 12 (박사학위 청구 논문 준비) (0) | 2022.07.26 |
---|---|
박사학위 도전 11 (외국어 및 종합시험) (0) | 2022.07.26 |
박사학위 도전 9 (Springer Nature) (0) | 2022.07.26 |
박사학위 도전 8 (해외 저널 투고) (0) | 2022.07.26 |
박사학위 도전 7 (통계학) (0) | 2022.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