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비물 사철나무 잎, 왕달맞이꽃 줄기, 안전면도날, 핀셋, 스포이트, 페트리 접시,
실험용 고무장갑, 덮개 유리, 받침 유리, 현미경, 전정가위, 꽃삽, 채집주머니
실험방법
❶ 사철나무 잎의 단면을 적당한 크기로 자르고 왕달맞이꽃 줄기 조각 속에 끼운다.
▶ 교과서에서는 수수깡이나 당근을 이용하여 사철나무 잎을 잘게 자르는 실험을 하였다. 당근과 수수깡 대신에 학교잡초의 줄기로 대체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로 적합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대체 재료로 선택된 학교잡초는 좀깨잎나무, 개망초, 칡덩굴, 닭의장풀, 애기똥풀, 왕달맞이꽃 이었고 이 중 효과가 가장 좋은 것이 좀깨잎나무와 왕달맞이꽃이였다. 개망초는 줄기가 단단 하지 않아 쉽게 물러지는 특성 때문에 칼로 자를 때 얇게 자르기 어려웠으며, 칡 또한 줄기가 물러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았다. 닭의장풀은 줄기가 단단하였지만 굵기가 얇아 사철나무 잎 을 효율적으로 자르지 못하였다.
❷ 안전면도날로 왕달맞이꽃 줄기의 단면을 얇게 자른 뒤 물이 담긴 페트리 접시 안에 넣는다.
▶ 면도날로 얇게 자르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한 번에 자를 때 5~6개를 잘라 마르지 않도 록 물에 담가 놓은 후 가장 잘 잘린 표본을 관찰한다.
❸ 핀셋을 이용하여 한 조각을 꺼내어 받침 유리에 놓고 덮개 유리를 덮은 후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 너무 두껍께 잎이 잘리면 빛이 쉽게 통과되지 않아 상이 어둡게 보여 관찰하기가 쉽지 않다.
실험결과
❸ 칡덩굴, 닭의장풀, 애기똥풀 이용 (효과 : F)
▶ 실험에 필요한 재료를 필요할 때마다 구입하여 사용하는 것이 쉽지만은 않다. 당근과 사탕수수를 구입하는 것도 맥락을 같이 한다. 잎의 구조를 관찰하기 위해 학생들과 함께 교정에서 학교잡초를 채집하여 실험을 한다면 더욱 흥미롭고 재미있는 실험 수업이 될 것이다.
본 교재에서는 좀깨잎나무, 왕달맞이꽃 줄기를 사용하였지만, 뚱딴지 줄기, 엉겅퀴 줄기, 등나무 줄기, 방가지똥의 줄기를 이용하여 실험을 해보아도 재미있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