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ifference Between Knowing The Path And Walking The Path

학교잡초 가이드북

공변세포 관찰

Potentilla 2014. 4. 22. 13:07

 

 

준비물 고마리, 장미꽃잎, 원추리, 소리쟁이, 핀셋, 스포이트, 덮개 유리, 받침 유리, 현미경, 전정가위, 꽃삽, 채집주머니

 

실험방법

 

닭의장풀 잎을 준비하여 한 손으로 잎 뒷면을 잡고 다른 손으로 잎을 꺾어 당기면 표피가 얇게 벗겨져 투명한 부분이 나온다.

 

교과서에서는 닭의장풀 잎을 주재료로 사용하여 많은 실험을 진행하였다. 잎 표면이 얇아 특별한 처리를 하지 않더라도 현미경으로 보면 곧바로 공변세포를 관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학교잡초를 실험 재료로 이용할 수 없을까하고 생각하던 중 여러 식물을 재료로 실험 을 해보았다. 까마중, 개망초, 쇠무릎, 좀깨잎나무, 고마리, 장미 꽃잎 등을 채집하여 유사 한 방법으로 실험을 해보았으나 고마리와 장미꽃잎만 관찰이 가능했는데, 다른 식물의 잎 은 표피가 두꺼워 빛의 투과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투명한 잎 뒷면 표피를 유리판에 놓고 적당한 크기로 잘라 받침 유리 위에 올려놓는다.

세포를 관찰하는 것이기 때문에 표피가 클 필요는 없다. 1mm 정도의 크기만 되어도 공변세포 관찰에는 문제가 없다.

물을 한 방울 떨어뜨리고 덮개 유리를 덮어 현미경 표본을 만든다.

공기방울이 만들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덮개 유리를 덮을 때 45° 각도로 비스듬히 덮 으면 좋다. 물이 너무 많을 경우 덮개 유리 바깥쪽에 화장지를 갖다 대면 물을 흡수하여 표본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다.

 

현미경으로 잎 뒷면 표피를 관찰한다.

1,000배 이상의 고배율로 현미경을 관찰할 경우에는 반드시 이멀전 oil을 덮개유리 위에 한 두 방울 떨어뜨린 후 상을 선명하게 관찰한다.

 

 

 

 

 

 

 

 

 

 

 

'학교잡초 가이드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의 겨울나기(로제트, 겨울눈)  (0) 2014.04.22
물관 관찰  (0) 2014.04.22
잎의 구조 관찰하기  (0) 2014.04.22
녹말 관찰  (0) 2014.04.22
삼투현상 관찰  (0) 2014.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