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ifference Between Knowing The Path And Walking The Path

학교잡초 가이드북

삼투현상 관찰

Potentilla 2014. 4. 22. 12:56

 

 

준비물 500ml 비이커 15, 상온의 물, 스포이트, 소금, 전자저울, 약수저, 약포지, 문구용 칼, 전정가위, 꽃삽, 채집주머니, 학교잡초

 

실험방법

 

학교잡초 줄기를 개체 당 각각 3개씩 준비하고, 각각의 줄기 끝부분을 + 자 모양으로 5mm 깊이로 자른다.

학교 잡초인 닭의장풀, 개망초, 고마리, 봉선화, 께묵을 학교에서 채취하였는데, 물가에서 자라는 고마리는 학교 뒷산에서 흘러내려오는 작은 개울물 주변에 자라고 있었다.

식물 종에 따라 줄기의 단단함에 약간씩의 차이가 있는데, 이 차이가 삼투 현상 실험 결과 에 어떻게 나타나는지 관찰하는지도 재미있는 실험 관찰 포인트가 된다.

세부 내용

a. 학교 잡초 1 종류당 비이커 3개 준비, 각 비이커에 상온의 물을 50ml씩 넣고 각각 농도가 다른 소금물을 만든다.

b. A 비이커는 소금을 0g, B 비이커에는 소금을 2g, C비이커에는 소금을 4g을 넣 고 녹인다.

c. 각각의 학교 잡초 줄기를 3cm 정도로 자르고 한쪽 끝을 + 모양으로 자른다

(깊이는 1cm이상).

d. 각각의 줄기를 농도가 다른 3개의 비이커에 넣고 변화를 관찰한다.

 

단단한 줄기를 자를 때에는 손을 다치지 않도록 주의한다.

줄기를 + 자 모양으로 자를 때 1cm이상 깊이로 잘라야만 삼투현상의 효과를 쉽게 관찰할 수 있다.

채집하는 잡초의 종류는 구분할 필요는 없지만 잡초의 정확한 동정을 위하여 개체 전체를 채집하여 따로 보관하거나 사진 촬영을 하도록 한다.

 

실험결과

 

삼투현상으로 줄기가 벌어진 정도를 + 로 표시함. +++ 매우 많이 벌어짐. ++ 많이 벌어짐 + 조금 벌어짐 - 벌어지지 않음

학교잡초

닭의장풀

개망초

고마리

봉선화

께묵

비고

Nacl 0g

+++

+++

+++

+++

-

10분 내에 모두 벌어짐

Nacl 2g

+

+

+

+

-

20분경부터 벌어지기 시작함

Nacl 4g

-

-

-

-

-

 

께묵을 제외한 학교 잡초의 줄기가 실험시작 10분 내에 소금물 0g에서 모두 벌어 졌다. 이 실험 결과로 인해 삼투현상은 저농도에서 고농도로 물이 이동하는 현상임을 설 명할 수 있다.

물이 잡초의 줄기에 들어감으로써 팽압이 증가하여 밖으로 휘어지게 된다.

께묵에서는 삼투현상이 나타나지 않은 이유는 께묵의 줄기가 딱딱했기 때문인데, 문구용 칼로 자르는데 힘이 들었다. 딱딱한 줄기의 성질로 인해 물의 흡수가 잘 일어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결과

께묵을 제외한 모든 재료에서 삼투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는데, 특히 개망초에서 뚜렷한 변화를 관찰하기 쉬웠다. 개망초의 줄기가 매우 부드럽고 다른 재료들에 비해 줄기의 직경도 넓어 실험 재료로 적합하다. 개망초는 국화과 식물로 봄부터 늦가을까지 볼 수 있는 학교 잡초로 주변에서 계절에 상관없이 재료를 구할 수 있기 때문에 교과서에서 사용한 마늘 줄기 대신으로 대체할 수 있는 매우 훌륭한 재료이다.

 

고찰

좀 더 세밀한 관찰을 위하여 소금물 농도의 급간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소금물 0g, 0.5g, 1g, 1.5g, 2g, 2,5g, 3g, 3,5g, 4g). 이렇게 실험을 해보면 개망초의 삼투압을 확인해볼 수 있는데, 만약 3g에서 부터 줄기가 휘지 않는다면 이 농도가 개망초의 삼투압이다. 이렇게 실험 제목을 정해도 재미있을 것 같다.

" 개망초의 삼투압을 찾아라

 

 

개망초 : 북아메리카에서 들어온 2년생 귀화식물로 꽃은 6-7월에 핀다. 근생엽을 식용으로 한다. 전국의 들판과 도심 공토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망초는 우리 민족의 한이 스며있는 꽃이다. 망초 꽃을 달걀 꽃이라고도 불렀는데 꽃 한가운데가 노란색이기 때문이다. 일본강점기 때 처음으로 일본이 철도를 개설하였다. 전쟁에 이용할 목적으로 개설하였는데, 우리나라 각지에 심어져 있던 소나무를 베어서 사용했다. 그런데 그 철도가 만주에 개통되고 나서 철도를 따라 망초가 우리나라도 들어왔다. 그래서 나라를 잃은 슬픔을 그 식물의 이름에 붙여서 망할 망자를 써 망초라고 했다. 아마 망초처럼 전국적으로 군락을 지어 퍼져 있는 식물이 없을 것이다.

망초와 개망초를 구분해야 하는데, 망초는 7-9월에 꽃이 피고 개망초에 비해 전체에 훨씬 털이 많고 잎이 가늘다. 개망초는 개화시기가 6-7월로 망초에 비해 약간 빠르고 털이 별로 없으며 잎이 더 넓다.

 

 

 

 

 

 

'학교잡초 가이드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변세포 관찰  (0) 2014.04.22
잎의 구조 관찰하기  (0) 2014.04.22
녹말 관찰  (0) 2014.04.22
증산 작용의 확인  (0) 2014.04.22
꽃가루의 변화 관찰하기  (0) 2014.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