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비물 고마리, 까마중, 닭의장풀, 봉선화, 쇠무릎, 좀깨잎나무, 빨간색 식용 색소, 광학현미 경, 페트리 접시, 집기병, 안전 면도날, 받침 유리, 덮개 유리, 전정가위
실험방법
❶ 비이커에 빨간색 식용 색소를 탄 물을 넣고 채집한 학교잡초를 꽂아 둔다.
▶ 교과서에서는 봉선화를 주로 사용하여 실험을 하고 있으며, 백합과 샐러리를 이용하는 출 판사도 있다. 본 실험에서는 고마리, 까마중, 닭의장풀, 쇠무릎, 좀깨잎나무를 사용하였지 만 이외의 학교잡초도 거의 모두 가능하리라 본다. 여러 학교잡초를 가지고 실험을 해보면 각각의 종에 따라 다른 물관의 위치와 모양을 확인할 수 있어 더 재미있는 실험이 될 수 있다.
▶ 학교잡초의 이름을 동정하기 위해서는 개체의 전체적인 모습이 필요하므로, 채집하여 표본 을 만들거나 사진을 촬영하여 보관할 경우에는 꽃이나 열매뿐만 아니라 식물 전체적인 모 습을 촬영하여 보관한다.
❷ 비이커를 햇빛이 비치는 곳에 1시간 이상 두었다가 학교잡초를 꺼내어 흐르는 물에 씻는다.
▶ 개체의 크기가 작다면 뿌리째 채집하여 꽂아둔다.
❸ 안전 면도날로 학교잡초 줄기를 가로와 세로로 얇게 여러 개 잘라 물이 담긴 페트리 접시 에 띄운다.
▶ 표본의 두께를 가능한 얇게 잘라야 현미경으로 잘 관찰됨으로 여러 개의 표본을 준비해놓 고 잘된 표본을 골라 관찰한다.
❹ 현미경으로 표본을 관찰한다.
▶ 여러 재료를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실험재료 |
효과 |
실험재료 |
효과 |
고마리 |
A+ |
닭의장풀 |
A+ |
까마중 |
B |
봉선화 |
A+ |
쇠무릎 |
A+ |
좀깨잎나무 |
B |
왕달맞이꽃 |
A+ |
왕달맞이꽃 줄기 |
A+ |
✤ 위의 재료 중 가장 사용하기 좋았던 식물은 왕달맞이꽃이다. 줄기를 잘라 일부분만 비이커에 꽂아두어도 잘 자랐으며 줄기가 두꺼워 물관을 통한 색소의 이동도 잘 되어 줄기를 가로로 잘라 물관을 관찰하는 실험과 세로로 잘라 관찰하는 실험 모두에서 잘 관찰되었다.
다른 식물들은 줄기의 굵기가 얇아 세로로 잘라 관찰하는 실험에는 적합하지 않았으며, 쇠무릎이 예상외로 관찰이 잘 되었다. 쇠무릎은 사계절 모두 구할 수 있는 재료로 다른 재료에 비해 실험 재료로 탁월한 것 같다.
'학교잡초 가이드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합성이 잘 일어나는 조건은? (0) | 2014.04.22 |
---|---|
식물의 겨울나기(로제트, 겨울눈) (0) | 2014.04.22 |
공변세포 관찰 (0) | 2014.04.22 |
잎의 구조 관찰하기 (0) | 2014.04.22 |
녹말 관찰 (0) | 2014.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