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ifference Between Knowing The Path And Walking The Path

학교잡초 가이드북

증산 작용의 확인

Potentilla 2014. 4. 22. 12:47

 

준비물 시험관, 시험관대, 학교주변 잡초, 식용유, 스포이트, 전정가위, 채집주머니

 

실험방법

 

시험관 2개에 같은 양의 물을 넣고 학교주변에서 채집한 잡초를 꽂은 후, 식용유를 2~3방울 떨어뜨린다.

계절에 따라 잡초의 종류가 달라질 수 있으나 잎의 면적이 넓은 잡초와 좁은 잡초, 잎에 결각(톱니모양으로 갈라짐)이 많은 식물과 없는 식물, 양지 식물과 음지 식물, 덩굴 식물을 따로 채집하여 비교하면 흥미로운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 식용유를 떨어뜨리는 까닭은 무엇일까?

 

준비된 시험관을 햇빛이 잘 비치는 곳에 일정시간 동안 둔 후, 시험관에서 일어난 변화를 관찰한다.

- 어느 쪽 시험관의 물이 더 많이 줄어들었을까? 그 까닭은 무엇일까?

 

잡초를 준비할 때 너무 크기를 작게 하면 증산작용이 효율적으로 일어나지 않으므로 개체 의 전체 크기를 약 20~30cm의 크기로 채집한다.

줄기를 자를 때에는 비스듬히 잘라야 물의 흡수가 원활히 이루어진다.

채집하는 잡초의 종류는 구분할 필요는 없지만 잡초의 정확한 동정을 위하여 개체 전체를 채집하여 따로 보관하거나 사진 촬영을 하도록 한다.

 

실험결과

 

사용된 학교 잡초 : 쇠무릎, 사위질빵, 계요등, 마삭줄, 고사리,

 

 

 

결과

잎이 넓은 쇠무릎은 2시간 후 증산작용이 많이 일어났으며, 상대적으로 잎이 적고 좁은 마삭줄은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칡은 3출엽의 복엽을 재료로 사용하여 잎이 넓었지만 줄기가 아니어서 증산작용이 잘 일어나지 않았다.

교과서

연구 결과

재료

잎이 달린 나뭇가지 사용

학교잡초 사용

장점

개체가 조금 더 안정적임

학교 정원의 수목을 다치게 하지 않고 수행할 수 있음

단점

목본만을 예시로 제시하여 사전에 재료의 선택을 제한시킴

전문적 지식이 없으면 잡초의 이름을 정확히 알기 어려움

 

 

 

 

 

 

 

'학교잡초 가이드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변세포 관찰  (0) 2014.04.22
잎의 구조 관찰하기  (0) 2014.04.22
녹말 관찰  (0) 2014.04.22
삼투현상 관찰  (0) 2014.04.22
꽃가루의 변화 관찰하기  (0) 2014.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