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ifference Between Knowing The Path And Walking The Path

금당산 식물

떡갈나무

Potentilla 2011. 11. 18. 11:13


 

 

7월 4일

 

      12월 10일

     

      11월 9일

 

4월 23 : 새순에 곤충이 모여 들어 수액을 먹고 있음

 

 

참나무과 떡갈나무
Quercus dentata Thunb.

숲 속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나무로 참나무의 한 종류이다. 우리가 흔히 부르는 참나무라는 나무는 없고 떡갈나무, 갈참나무, 졸참나무, 신갈나무 등이 있다. 떡을 찔때 떡 시루 밑에 떨갈나무 잎을 깔은데서 연유한 이름으로 잎 뒷면에 갈색 털이 있어 떡시루에서 쉽게 뜯어낼 수 있었다. 떡갈나무와 비슷한 참나무에는 신갈나무가 있고 떡깔나무와 거의 비슷하지만 잎 뒷면에 털이 없는 차이점이 있다. 짚신을 신고 다닐 때 비가 오면 버선이 물에 젖었기 때문에 신가나무 잎을 뜯어 깔창으로 사용했단다. 떡갈나무 잎에는 털이 있어 적당하지 않았지만 신갈나무 잎은 전체적인 모양도 우리의 발 모양과 비슷하고 털도 없어 꽤 재치있는 임시 방편이었던 것 같다.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상수리나무라는 이름이 붙은 유래가 임진왜란 때 의주로 피란간 선조와 관련이 있다고 한다. 난리 중이라 먹을 것이 마땅치 않아 수라상에 도토리묵을 자주 올렸고 맛을 들인 선조가 환궁하여서도 도토묵을 늘상 찾아 수라상에 자주 오른데서 '상수라'로 부르다가 상수리가 되었다 한다. 참나무에는 여러 종류의 나무가 있고 이를 구분하기가 여간 쉽지 않아 참나무 종류의 열매를 통틀어 '도토리'라고 부르고 어떤 지방에서는 '상수리', 경상도에서는 '꿀밤'이라고 부른다. 도토리 중에서 묵을 만들면 제일 맛있는 것이 졸참나무 열매라고 한다.

참나무과 식물은 구분하기가 까다로워 간단한 검색표를 작성해보았다.

1.잎의 모양이 도란형이다

2.엽병이 없다

3.잎에 털이있다 -떡갈나무
3.잎에 털이없다 -신갈나무
2. 엽병이 있다

3.잎의 끝부분이 첨두 -졸참나무
3.잎의 끝부분이 예두 -갈참나무

1.잎의 모양이 긴타원형이다

2.잎 뒷면이 흰색이다 - 굴참나무
2.잎 뒷면이 녹색이다 - 상수리나무

* 엽병 = 잎자루
첨두 : 갑자기 좁아짐
예두 : 부드럽게 뾰족해짐
도란형 : 달걀을 거꾸로 엎어놓은 모양
긴타원형 : 타원형이 길죽함

 


'금당산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가릿  (0) 2011.11.18
떡쑥  (0) 2011.11.18
애기풀  (0) 2011.11.18
돌나물  (0) 2011.11.18
꽃마리  (0) 2011.11.18